엘렌 포스터 작가정신 청소년문학 1
케이 기본스 지음, 이소영 옮김 / 작가정신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성장소설을 좋아하고 기회가 되면 읽으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청소년이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성장소설이 대부분이지만 어른인 내가 읽어도 언제나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말 그대로 책을 읽는 사람이 어린이건 청소년이건 어른이건 모두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 성장소설의 매력이자 중독성이다.


이 책은 11살 된 한 소녀의 이야기를 통해 친구와의 우정, 가족 간의 사랑, 형제나 부모와의 관계 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다. 그리고 그동안 읽었던 성장소설 중 아주가혹한편에 속한다. 주인공 엘렌을 도와줄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엘렌 자신뿐이고, 가족이라고 해서 또는 친척이나 친아빠라고해서 엘렌에게 따뜻하게 다가오는 어른이 없다. 모두들 이기주의적인 행동을 통해 상처받은 엘렌에게 또 다른 상처를 준다.


책을 읽으면서 나도 주위에 어려운 아이들을 무심히 보고 지나치는 이런 이기주의적인 어른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도움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 개인주의 적인 삶을 살고 있지는 않는지 생각해본다. 그리고 소설 속 엘렌을 조용히 응원한다. 내가 가서 널 데려와 우리 집에서 같이 생활했으면 좋겠구나. 분명 주위에 엘렌 같은 아이가 있으면 나는 그냥 지나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 이야기 속 엘렌에게 자꾸 마음이 가고 내 품에 안아서 보듬어 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이 당연했다. 이쪽저쪽에서 상처받으며 스스로를 절재하고 다독이는 엘렌의 모습이 너무 안쓰러웠다.

그러나 무엇이든 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으면 지금의 고통이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엘렌은 금방 깨닫는다. 그래서 남몰래 노력한다. 사랑받는 아이로 자라기 위해서, 진심으로 자신을 돌봐주고 사랑해줄 사람을 찾아서, 그리고 과감히 그의 집 초인종을 누르는 용기를 낸다.


책의 구성은 과거와 현재를 왔다 갔다 하며, 과거에 엘렌이 겪은 고통과, 현재 안정된 공간에서 받는 사랑을 동시에 보여준다. 이런 구성 때문인지, 과거의 고통은 지금의 행복과 비교되어 더욱 힘겹게 보이고, 현재의 행복은 과거의 고통과 비교되어 더욱 즐거워 보이는 효과가 있었다. 행복한 일상에서 과거를 회상하는 장면으로 돌아가면, 언제쯤 어떤 경유로 엘렌이 행복한 가정을 찾아 나서게 되는 것인지 궁금증을 자아내 책장을 더 빨리 넘기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