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가해자들에게 - 학교 폭력의 기억을 안고 어른이 된 그들과의 인터뷰
씨리얼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침통함 기분을 어떻게 표현할 수 없어 내가 내 감정을 어찌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참담했다.

왕따가 학교 폭력이 계속 문제되고 있지만
이렇다할 해결책 없이 피해자들은 계속 양산되어 지고 있고 그들의 피해도 쌓여가고 있다.

나는 유투브 영상을 본적은 없지만.
이들. 이 피해자들이 영상을 찍은데에는 과연 어떤 이유가 있을까.그 영상을 찍고 이 책을 내기까지 그들은 얼마나 많은 생각을 해야하고 또 남다른 각오를 해야했을까 싶었다.

그들의 트라우마와 피해의식은 대체 누가 보상해주는가.
그 가해자들이 본인들이 가해자였다는 것을 기억하기는 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따라 들어왔다.

이 '왕따' 라는 것들에 의하여 얼마나 많은 이들이 목숨을 끊을 생각을 했었는지 얼마나 많은 피해를 입었는지 누가 보상을 해줄 것인가. 계속해서 답답한 생각이 든다.

'방관자' 라는 인물. 에 대해서 얼마나 많은 언급이 되었는가.
방관자. 누구나는 또 다른 가해자라고 하지만.
어찌 가해자라고만 표현할 수 있겠는가.
어찌보면 또 다른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거 아닌가.
그들이 피해를 당할 때 동조하고 같이 비웃은 이들이 아니라면. 그들 역시 또다른 피해자라 불릴 수 있는 것 아닐까.
어느 누가 감히. 그 상황에. 피해자를 도와주는 용기 있는 행동을 할 수 있겠는가.

책에서 얘기했듯이. 청소년들은 20대와 30대, 40대를 겪어보지 못했따.
10대의 청소년들은 학교가 세상의 전부이고 친구가 전부인 그들인데. 그 관계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은 그들에게 과연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인가 생각하게 된다

어떤이는 말한다.
선생님이 해결해줄 수 없는 문제이고. 그들이 그런 것을 따로 원하지도 않는다고.
선생님들이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는 없을지 몰라도. 학교는 선생님들은, 성인들은 그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관여해야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들이 서로 사이좋게 지내게 만들어달라고 말도 안되는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다.
피해자의 얘기를 전적으로 경청하고 적어도 물리적인 피해가 피해자에게 가해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방어를 해주어야 한다. 그게 학교의 역할이다.

읽으면서 너무 답답하고. 너무 속상하고.
이런 문제가 근본적으로 근절되지 않는 다는 사실이 너무 슬프다. 너무 답답하다.


이 책을 가해자들은 쳐다나볼까.
그러지 않겠지만.
다른 피해자들이 이 책을 읽으며 조금이라도 위안을 얻을 수 있길. 버틸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