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
존 그린 지음, 김지원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그저 아픔과 고통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은 아닌 것 같아요.

아픈 두 아이가 사랑을 찾는 과정이자 삶의 대답을 찾아가는 과정.

십대만의 유쾌함과 현실감이 이 소설 전체에 흐르고 있습니다.

암이라는 병에 대한 우울감이나 고통스러움 절망감 등 이런 것들이

전혀 없다고는 말할 수 없어요. 왜냐면 그건 공기 같은 것이니까.

말을 하지 않아도 그들은 그 암세포와 함께 숨쉬고 살아가고 있으니까요.

​전체적으로 보자면 이 책은 굉장히 슬픈 소설일 거에요.

하지만 슬프지만은 않은 이유는 그들이 아름다운 사랑을 하고 있기 때문이고,

10대들만의 철학을 서로가 이해하고 나누며 절망 아닌 현실을 인지하고

자신의 삶을 잘 이해하고 받아들인다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에요.

자신의 16세 인생에 말기 암환자라는 이름표로 살아가고 있는 소녀 헤이즐.

항상 그녀는 산소탱크를 끌고 다녀야 하고, 헤이즐의 엄마는 그녀의 곁에 상시 대기.

헤이즐은 암환우 모임에서 처음 만난 어거스터스와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어거스터스는 헤이즐이 보기에 굉장히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남자였어요.

그들의 사랑은 십대의 쿨함과 설레임과 약간의 슬픔. 그리고 그들만의 언어로

아름답게 빛나고 있습니다.

헤이즐은 강하고 똑똑한 소녀입니다.

그녀의 말은 속을 뻥 뚫어줄 정도로 시원하고 통쾌한 면이 있지요.

그녀의 생각이 좋아요. 그녀가 생각하는 십대같은 면이 좋습니다.

어거스터스의 매력 있는 모습이 좋아요.

헤이즐에게 항상 헤이즐 그레이스라고 부르는 게 좋습니다.

어거스터스의 로맨틱함이 다정함이 좋습니다.

그들은 암이라는 ​굴레에 속박되어 있는 게 아니에요.

그들은 좋아하는 책을 서로 공유하고, 책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게 됩니다.

헤이즐이 굉장히 좋아하는 책 '장엄한 고뇌'라는 책은 결말이 이상하게 끊겨있었지요.

결말을 굉장히 알고 싶어 하는 헤이즐. 그리고 그녀의 궁금증에 동조하는 어거스터스.

헤이즐이 아무리 편지를 보내도 답장이 없었던 '장엄한 고뇌'의 작가와의 연락을

어거스터스가 이끌어냅니다. 직접 작가에게 메일을 받았던 것이지요.

그리고 어거스터스는 자신의 소원을 이용해 작가가 있는 곳까지 헤이즐을 데리고 가줍니다.

작가와의 만남은 ​아름답고 완벽한 스토리는 아니었지만요.

정말 완벽하고 아름다운 작가와의 만남을 기대하고 있던 저는 굉장히 놀랐습니다.

어느새 헤이즐이라는 캐릭터에, 꿈꾸는 소녀에게 매료되었던 모양입니다.

아름다운 작가와의 만남이 아니라서 실망한 면도 있지만,

헤이즐이 소설의 뒷부분을 알 수 없어서 안타까웠던 점도 있지만,

역시 세상은 계획한 대로 잘 흘러가지 않는 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엄청난 기대를 하고 갔을텐데, 그 속에서도 그 시간을 절망으로 보내지 않았던

헤이즐의 멋진 선택에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그들은 더 사랑하게 되었지요.​

소설의 뒷부분은 어거스터스의 병이 재발하면서 슬픈 내용 뿐입니다.

어거스터스는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면서 헤이즐을 끝까지 사랑했습니다.

마지막은 그걸 절절히 느낄 수가 있구요.

정말 아름다운 게 가장 슬픈 거라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