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 제120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야베 미유키 지음 / 청어람미디어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을 가장한 사회소설이라는 느낌.

추리소설이 맞긴한대 평이하게 보아오던 그런 추리소설과는 맥락자체가 다르고, 전체구성이 적응이 안될 만큼 낯설게 느껴진다.

왜냐면 애거서 크리스티를 좋아하는 사람은 추리소설을 좋아하니까 이 소설을 추천해주자.

라고말해도 그 사람은 왠지 실망할것같은 기분이 들고, 왜냐면 여기선 누가 범인인지를 추리해나가는 맛이 없다. 아니 소설 자체가 순번을 기다리라는 듯 차례차례 스스로 말해주고 있다.

그러니까 여기선 추리하느라 범인은 누굴까. 하고 고심하기 보다는 사건을 둘러싼 사회적 배경과 현대사회의 높고 높은 허황된 꿈.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것이 보기 편할것이다.

 

확실히 굉장하다 싶을정도로 꼼꼼하고, 사건을 중심으로 얼마나 수많은 사람들의 연관 아닌 연관을 짓고 있는가를 알 수 있고, 그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 시점, 과거를 빠짐없이 이야기하고 있으니, 이건 각각의 사람의 소설을 읽고 있다고 해도 괜찮을 정도.

 

그리고 사건에 대하여 그 사람들이 가지는 생각을 르포르타주(보고,기록)형식을 취하여 이야기하고 있으니, 그 사건을 누가 누구를 살해한 이유는 무엇이다. 라고 단정지어 말할 수 있는것이 아니라는걸 알수있다. 사건에 대해 사람마다 다르게 생각하는건 당연한것이고, 이 사건을 누구 한사람에게 끌려가는것이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보는) 작가는 모두의 상황과 심정과 사실을 끊임없이 말하고 있는것이다.

 

상당히 복잡하고 난해한 감정이라는 그늘속에서 그 사람의 과거의 연관되어 모든 일은 일어나고 있으며, 사람을 결정하는 것도 그 과거라는것이고, 결국엔 모든 일은 누군가의 과거와 과거가 만나 얽히고 설켜서 일어나는 일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정도로 뭐라 단정하기 힘든 '이유'는 그 사람에 대한 어두운 과거를 어떻게 보아야하는지, 사건을 사회적으로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고 있는 것 인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를 속이고, 마음이 안맞는 가족을 버리고, 도망치고, 감정에 배반당하고, 누군가에게 매달리고, 자신의 짐을 떠넘기고, 누군가에게 구속되지 않기를 바라고.. 이 사건에 붙어있는 사람들의 수많은 감정이 되살아 났다.

난 시어머니와 매번싸우고, 집을 나갔다가 들어오기를 반복하는 며느리 유키에의 마지막 말이 생각났다.

'돌아갈 곳도 갈 곳도 없다는 것과 자유라는 것은 전혀 다른 걸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