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티나 데이터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정환 옮김 / 서울문화사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야기는 아사마 반장이 아무 이유도 모른채, 범인의 모발을 경찰청 특수해석연구소의 가구라주임에게 배달하는 일부터 시작된다. 주인공은 이 두명. 아사마 반장과 가구라 주임.

그 둘은 약간은 대립되는 느낌이 있다.

아사마반장은 위에서 시키는 대로 이유도 모른채 그들(경찰청 특수해석연구소)에게 범인의 흔적을 배달하고, 그들이 뽑는 DNA데이터에 맞는 인물을 검거해 체포하는 일로 수사방향이 변경된다. 물론 DNA검색 시스템 덕분에 검거율은 상승하고 형사들의 일은 줄어들게 되지만 그는 무언가 잘못되어간다는 것을 느낀다.

그러는 사이 DNA로도 검색되지 않는 용의자가 나타나게 되고 수사에 혼선을 빚게 된다. 아사마반장은 위의 시키는 일에서 벗어나 독단적으로 발로 뛰는 수사를 시작하게 되는데, 그 속에서 드러나는 일들이 범인을 향하고 있다.

 

또 한명의 주인공 가구라 주임. 말하자만 그는 세력을 가진 쪽에 서있는 자이다. DNA수사시스템을 개발, 관리하는 권력자 입장에 있는 시스템 신봉자 중 하나인 것이다.

하지만 어느날 시스템 중요한 개발자인 쌍둥이 남매가 살해되고, 그 쌍둥이 동생쪽 옷에 붙어있던 머리카락에서 발견된 DNA데이터의 결과는 충격적이게도 가구라, 그 자신이었다.

가구라는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걸 느끼면서도 확신을 가질 수 없는 이유는 그가 이중인격이었고, 이중인격중 한명인 '류'라는 인물이 되어있을 때의 기억은 전혀 없어서 이기도 했다. 자신을 의심하면서도 그는 사건의 정황을 파헤치기위해 도피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경찰과 세상의 모든 시스템에 쫓기며 그가 발견한 진실은 범인의 윤곽보다도 또다른 자기자신의 모습을 류가 아닌 가구라 자신인 채로 느낄 수 있는 것이었다.

 

그들 각각의 시각에서 벌어지는 사건들과 그들이 추리해나가는 사건들이 하나둘씩 밝혀지면서 어느 순간엔 둘의 접점이 맞아떨어지게 된다. 안타깝게도 그 둘이 힘을 합쳐 결론을 보기도 전에 막혀버려 짧게 끝나버렸지만, 대립되던 두사람의 협동심이 재밌는 장면중 하나였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가구라의 이야기였는데, 도예가인 아버지가 기계가 만든 도자기와 자신의 것과 비교되면서 벌어지는 아버지의 자살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으로 이중인격이 되어버렸다.

이성과 감성이 대립되는 모습으로 나타나, 가구라의 한쪽 인격인 '류'라는 인물은 하루종일 그림만 그린다. 가구라는 '류'가 자신에게 피해만 주지 않는다면 그가 무엇을 하건 상관없는 주의였다. 둘다 철처하게 배제된 같은 사람이었던 것이다.

 그가 도피생활 중 깨닫게 되는 것들은 도시와 시스템과 모든 것을 피해 자연속에서 직접 모든 것을 만들며 살아가는 사람들과의 만남에서도, 시스템을 벗어나 자신이 쫓기게 되는 상황까지도, 시스템이나 기계라는 것은 살아가는데 편리하지만 만능은 아니라는 것. 그것으로 피해를 보는 사람이 생길 수 있다는 부작용을 알려주고 있었다.

데이터가 사람을 관리할 수는 없다는 것. 데이터가 사람은 아니라는 것. 그건 사람의 손으로 무언가를 할 때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기계가 만들던, 사람이 만들던, 똑같은 결론이 나더라도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것에는 의미가 있다. 가구라는 중요한 사실을 깨닫고 아마도 그 순간 이중인격은 더이상 이중이 아니었을 것이다.

 

책은 읽는 순간 계속해서 나오는 이야기 속에서 정신차릴 수 없을정도로 빠져들었다. 범인에 대한 궁금증도 있었지만 그것보다도 그들이 내는 결론은 무엇일까. 답답한 현실 속에서 발견하는 진실은 무엇일까가 더 궁금했었다.

결론은 현실과 같은 권력계층의 문제점과 사회계층의 씁쓸함을 꼬집고 있었지만, 이야기는 대체적으로 빠져들만큼 재미있었다.

다양한 인물들과 개성있는 캐릭터들의 등장은 이야기를 조금 더 흥미롭게 했다.

천재지만 자폐적인 인물인 타테시나 쌍둥이 남매. 그들은 사회에서 버려진 마음에 상처입은 아이들이었지만 그들의 자폐성은 그들을 천재적으로 만들고 그 천재성은 사회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한다.  아이러니한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플래티나데이터는 권력층이 만든 자신들만 지켜질 수 있는 방공호 같은 것이었다.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DNA를 내놓아 여기저기 까발려지게 되어도 자신들만은 검색되지 않는 권력층의 넘을 수 없는 벽 같은 느낌.

현실적으로 아주 동떨어진 이야기도 아닌 것 같아 씁쓸함이 느껴진다. 지금 어디에선가 누군가 자신의 권력으로 자신만 지킬 수 있는 벽을 바르고 있지는 않은지..

 

마지막으로 이 책이 말하는 건 기계화, 시스템화 된 편리함 속에서도 잊지 말아야 할 것. 인간의 손과 감성을 다시한번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모든 것이 사라져버린 후에라도 인간은 자신들의 손으로 다시한번 시작할 땅을 만질테니까.  

 

 

 

 

-"사소리는 작품의 완성도는 아무런 관계가 없대. 마음을 담는 것이 중요하다는 거야."

"마음이요? 그걸 어떻게 담습니까?"

"마음을 비우면 되지. 좋은 작품을 만들겠다거나 누군가의 흉내를 내려는 생각을 버리는 것이 마음을 비우는 거야.

생각은 반드시 손에 전달되거든. 그 손은 흙의 모양을 만들어 내고." -3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