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시간 사계절 1318 문고 61
지크프리트 렌츠 지음, 박종대 옮김 / 사계절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그녀가 죽었다.

순간, 우리 두 사람을 둘러싼

모든 시간이 입을 다물었다."

 

띠지에 적힌 글귀.

당연한 글이다.

당연하기에 아름답다.

그리고 죽음에 대해서도 사랑에 대해서도 유효한 말이다.

 

읽는 내내

슈텔라란 인물이 모호하다고 느꼈다.

슈텔라에 대한 고백-크리스티안의 감정이 고조될 때는 고백체가 되었고,

슈텔라와의 시간에 대한 회상- 소중한 마음을 담담한 문체가 담았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까지 다 읽고나서

슈텔라는 곧 사랑, 첫사랑의 상징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에 슈텔라는 그렇게 아름답고

청년의 환상에 완벽하게 들어맞는 관능미를 지녔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 소설은

다른 것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티첼리는

 




비너스의 탄생으로..

 

또는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의

한용운 시인으로.......

 

수많은 남성 예술가들은 각자의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크프리트 렌츠는

그것이 너무나 소중한 나머지 침묵으로 봉인까지 했다.

담담한 어조지만, 열정으로 폭발할 것만 같은 고요다.

 

생각해보니,

슈텔라는 '비너스'와 정말 흡사하다.

대부분의 이야기가 바다를 배경으로 한 것도 그렇고,

모호한 것도 그렇다.

 

그리고 이 책을 디자인한 디자이너도 그렇게 생각하진 않았을까?

해변으로 밀려드는 파도는 푸르지만

자세히 보면 그 정점의 물거품은 희다.

 

앞뒤로 물든 듯 점차 옅어지는 푸른빛...

그 물거품 속에서 슈텔라에 대한 크리스티안의 추억은 봉인되고

비너스는 물거품 속에서 태어났다.

 

얼마나 많은 소년들이

자신의 첫사랑을 이렇게 간직하고 싶을까?

왠지 궁금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