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노자, 현대인과 소통하다 - 알기 쉽게 풀어쓴 알기 쉽게 풀어쓴 동양철학 시리즈 1
왕융하오 지음, 이성희 옮김 / 베이직북스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 시절에 공자, 맹자, 노자 등 많은 사상가들의 이론을 배웠다. 하지만 시험을 보기 위해 짧은 이론으로 외우기만 했지 제대로 접한 이는 드물 것이다. 


노자의 도덕경이 좋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쉽게 다가서지 못한 독자라면 입문서로 

<유쾌한 노자, 현대인과 소통하다>를 만나는 것이 하나의 방편이 될 것이다. 

딱딱한 한자와 경전 대신, 각 장의 제목에 따른 쉬운 풀이가 따른다. 한 마디로, 쉽게 이해된다. 


모성을  향한 사랑 

그는 "도란 말이지, 모든 것을 낳았어. 하나가 둘이 되고, 둘이 셋이 되고 셋이 퍼져서 만물이 된 거야. 그 모습은 여자가 생명을 창조하고 우리 인류를 키워낸 것과 마찬가지지."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천하의 본래의 시작을 '어머니'로 비유한 것이다. 그래서 '어머니'가 어떤 존재인지 알고 이해하기만 한다면 만물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도를 정의하는 방식부터 시작해 



타인을 앞세우고 자신을 낮추라 

성인은 자신을 뒤에 두어 오히려 남보다 앞서게 된다


기실 인간 관계에서 쉽게 실천하지 못하는 것들을 짚어주며 



화 중에 가장 큰 것은 만족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 그래서 <도덕경>중 여러 곳에서 욕망을 제거하는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그의 이해에 따르면, 인간에게 욕망이 생기는 이유는 만족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족을 아는 사람은 사사로운 이익에 정신이 팔리거나 경쟁 때문에 동분서주 뛰어다니지도 않고, 또 자신의 낮은 지위를 부끄러워하며 타인의 도움을 얻으려고 아부나 뇌물을 사용하는일도 하지 않는다... 정말 깨달아야 할 것은 만족이다. 만족을 알 때 진정한 부유함이 있고, 이 부유함을 영원토록 누릴 수 있다. 


위처럼 우리가 물질을 대하는 자세, 부를 향한 마음가짐까지 일깨워준다. 


시험용으로 외웠던, 이제는 흐릿해졌던 도가사상과 도뎍경의 가르침이 다양하게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의 말미에는 원문, 주석, 해석을 간략히 요약하고 있어 부족함이 없다. 


이 책은 많은 것을 가졌지만 만족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이리저리 인간관계 속에서 치이는 보통 사람들에게 고요함과 평정심을 가져다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