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 개정판
김봉렬 글, 관조스님 사진 / 안그라픽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보고 싶고, 머물고 싶은 곳이 어떤 곳일까?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멋스러움과 전통이 깃들어 있는 절이라 답하고 있다. 기억을 돌이켜보면 나에게 절이란 나무사이로 들어오는 바람에 살짝 싸해지면서도,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때문에 좋은 기억들이 많이 머물로 있는 곳이라고 내 몸에 아스란히 새겨져 있었다. 부모님께서 불교를 믿으시는터라, 나도 자연스레 가끔씩 절에 가곤 했는데, 절이라는 장소는 기독교인에게 교회처럼 매 주 반드시 가야하는 그런 곳이 아니라 내가 필요할 때 찾아가는 장소라 부담이 없어 참 좋았다. 하지만, 과연 내가 얼마나 절에 대해 알고 있을까? 이 책을 읽기전에 내게 자문해보면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대한 대답보다는 오히려 절에 대한 물음만이 생겨났다. 왜 절은 교회처럼 우리 사는 주변에 있지 않고, 가기힘든 산속 높은 곳에 있는 것일까? 다양한 종류의 탑은 왜 서 있는 것일까? 절 마다 다른 형태의 양식들은 어떤 이유에서였을까? 하는 다양한 물음들을 불러일으켰다.

이 책은 김봉렬 교수님께서 우리나라 곳곳에 위치한 절들에 대한 글들을 재구성해서 모으고, 그에 맞는 사진들을 '님의 침묵'과 사진찍는 스님으로 잘 알려진 관조스님께서 사진을 찍어 완성된 책이다. 이 조화는 절에 대해서 건축적인 시각으로 분석한 내용과 절을 오래 바라보고, 그 안에서 생활하며 일반인이 선뜻 알아채기 어려운 절 고유의 아름다움을 관조스님꼐서 포착한 사진들이 잘 어우러져 차분하게 다양한 절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면서도, 그 안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들을 엿볼 수가 있다.

책을 읽으면서 각 지역마다 위치한 절들이 가진 독특한 매력을 알게되어 기쁘면서도, 한편으로는 조상들의 지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채 한쪽 면만을 바라보고, 절 내부를 개조하거나, 없애거나, 혹은 주변과 어우러지는 경관을 해치면서 현재는 사진으로만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절들이 상당수 있어 안타까움이 컸다. 이러한 흔적들이 마치 우리들에게 할! 하면서 어리석은 행동들을 주의하라고 꾸짖는 듯 하다. 절이라는 것이 단순히 불교 건축물이라고만 알고 넘기는 것이 아니라, 대중 예술로써의 불교예술과 지역의 위치와 우리 역사에 따른 건축방법의 당위성, 그리고 같은 불교문화를 갖고 있는 인접국가들과의 관계들 속에서 우리는 이 책과 함께 좀 더 넓은 시각으로 절들을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

템플스테이라는 또 하나의 힐링방법이 최근 각광받고 있는데, 이처럼 절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에너지들을 좀 더 잘 이해하고, 체득하면서 그 안에 담긴 지혜들을 살펴보고만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