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을 위한 철학 - 세상에 단 하나뿐인
브랑코 미트로비치 지음, 이충호 옮김 / 컬처그라퍼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개인소장 / 2013. 8.3 - 4 / 컬처그라퍼 / 279p

-

내가 아는 것과 보는 것의 차이.
역사의 흐름속에서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법과 그것이 투영된 건축물 그리고 거기에 담긴 철학.

우리는 흔히 여행을 하면서 수많은 건축물들을 보게된다. 혹은 건축물을 보기위해 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건축이라는 것은 나에게 뭔가 그 시대상과 관념들이 집약된 산물이라는 개념만을 가지고 있었기때문에, 역사적으로 유명한 건물들을 볼때면 '와 옛날사람들이 더 대단한 것 같다' 라는 생각을 자주 했지만, 그 정도의 겉모습 감상에 그쳤을 뿐, 내가 알고 있는 지식과 관심으로는 그 내면에 담겨있는 생각들을 보지는 못했다.  하지만 건축사무소에서 인턴을 하면서 건축과 조금 친밀해지고, 실제 건축가들과 이야기를 하면서 그들의 생각과 작업들을 느끼면서 관심이 생겨서 이 책을 집어들게됐다.

사실 내게는 건축이란 상당히 난해한 것(수학을 굉장히 싫어한다)이라고 느껴졌던 것이 사실이고, 철학은 건축과는 다른 분야에서 굉장히 어려운 것이라고 느꼈기때문에 그 두 단어가 합쳐진 책의 제목을 봤을때 이 책을 과연 내가 이해하면서 페이지를 넘길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하지만 의외로 조리있는 설명을 통해서 책의 내용을 상상하게 되면서, 점점 재미를 붙여갈 수 있게 된다. 뭐랄까 조금씩 사고의 영역이 넓혀지는 것 같다라고 할까. 시대적 흐름에 따른 철학의 흐름을 설명하기전에 시각적 상상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기본적인 철학, 건축적 지식을 제시하는데, 그 후에 나오는 사람들이 이것을 빛에 따라 인지하는 방법들, 그리고 이상과 실체에 대한 논의들을 보면서 내가 건축물을 바라보며 생각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중간중간에 내용과 관련된 그림이 있다면 정말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던 부분들이 많았는데, 시각적보정과 관련해서 우리가 바라보는 도시나 건물이 사람이 바라보는 시점에 따른 원근법이 적용된 것과 그것을 고려해서 어떻게 건물이 조정되었는지 보여주는 것,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했던 빛의 개념과 알베르티가 생각한 빛의 개념을 정보그래픽을 통해서 쉽게 보여준다면 사람들이 읽을 때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이 생각을 하면서도 '아 내가 지금 문자로 이루어진 것을 보고 시각적 심상을 이용해서 이렇게 입체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구나'라는 것을 떠올릴 수 있다는 것을 실감하면서 철학 Philosophy.  philo(좋아하다) + sophy(지식, 생각하는 것)이 내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어려운 개념이라기보다는 생각에 생각의 꼬리를 잡고 그것을 정리하는 방식으로 인지하고 체험할 수 있었다. 

건축을 하는 이는 이 책을 읽으면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힘을 갖게 되고, 꼭 관련이 없더라도 책에 나와있는 것처럼
누군가 헛소리를 하는지 안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만 같은 책.

건축을 위한 철학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