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엄마의 태교법 - '기질 바른' 아이를 낳기 위한 500년의 역사
정해은 지음 / 서해문집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 해의 215번째 책은 서해문집 북씨북씨 서평단으로 읽게 된 ​조선 엄마의 태교법​.

임신, 하면 자동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단어 중 하나인 태교.

그 태교의 시작이 어디서부터인지, 특히 조선시대엔 어떤 태교법이 있었는지, 왜 해야했는지 등 태교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는 책이다.

제사를 딸이 지낼 수도 있었고 재산까지 골고루 나누어 줄 정도로 남녀가 평등했던 고려시대.

허나 유교사상이 자리잡히게 된 조선시대엔 남아 선호사상도 같이 자리잡게 되었고 그렇기에 아들을 낳아야만 사랑받고 인정받았던 시대.

그냥 태아와 산모를 위한 태교가 아닌, 사내아기를 태어나게 하기 위한 태교마저 있었다는 사실에 꽤나 충격이었다.

태 중의 아이를 남아로 바꾸기 위한 태교라니...... 그게 당연시 되었다는 사실에 역사에 씁쓸했던.

 (p45)

태아가 딸인지 아들인지 구별하는 방법 중 대표적인 허준의 <언해태산집요>의 내용은 위와 같다.

지금처럼 의학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은 시대이니..... 그렇다고 쳐도 그 유명한 허준마저 이렇게 썼다니 참....

그렇지만 이런 것 중 몇 몇 개는 지금도 전해져내려오기도 하니 나름 신기하기도 했다 (특히 저 배 모양 이야기 ㅎㅎ)


책 내용 중 제일 기억에 남았던 부분 중 하나는 <태교신기>를 쓴 이사주당의 말로

'태교를 실천할 때 온 집안사람의 참여를 귀하게 여겼다. 임신부뿐 아니라 남편을 포함한 온 집안사람이 함께 참여할 때

비로소 태교가 가능하다고 보았다.'(p249)라는 부분이었다.

좋은 것만 듣고 좋은 것만 먹고 좋은 것만 보아야하니 임산부 혼자서만 될 일이 아니라 함께 해야한다는 것을 조선시대때에도 강조했구나!

하는 생각과 오늘날에도 잊어선 안 될 부분이라는 점에 공감이 되었던 :)


다 읽고나니... 태교법 자체가 궁금한 사람들이라면 썩 도움이 되진 않을 것 같고..

그 당시의 태교는 무얼 위한 것이었으며 어떤 방법들을 썼는지 등등, 태교에 관한 역사를 알고 싶은 분에겐 도움이 될 책이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