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는 말들 - 우리의 고통이 언어가 될 때
조소연 지음 / 북하우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렬한 첫 문장을 꼽자면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의 '오늘 엄마가 죽었다' 또 정지아의 「아버지의 해방일지」의 '아버지가 죽었다'가 있겠다만 오늘 하나 더 추가하고자 한다. 조소연의 「태어나는 말들」이다. 이 책의 시작은 '2018년 5월 7일, 어머니가 자살했다'이다.

어머니는 애인과 이별 후 한달동안 이상 행동을 보이더니 옥상에서 뛰어내렸다. 저자는 단편적으로 알고 있던 사실을 토대로 "어머니에 관한 진실을 재구성하고, 말하기 힘든 침묵의 행로에 숨통의 길을 내고"자 쓰기로 한다. 어머니가 지키고자 했던 비밀을 스스로 세상에 내놓게 되었지만 이 작업은 "사회적 낙인과 수치의 두려움 속에 자기희생과 자기파괴의 길을 걸어간 한 여성의 비극적인 생애로 보는 것이 과연 정당한 일"인지 묻는 것이며 "어떻게 하면 어머니의 삶을 '있는 그대로 한 인간'으로서 재건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결과물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1부가 '애도와 기억'으로 어머니를 회고하며 이해하는 과정이었다면 2부는 어머니에서 저자에게로 확장된다. "아주 폭력적인 방식으로 어머니의 세계로부터 추방"되었지만 어머니의 사랑으로 자신이 존재함을 깨달으며 받아들인다. 그렇게 어머니의 죽음에서 시작한 글은 어느새 다시 삶을 써 내려가는 자기 해방의 기록이 되었다. 하지만 저자는 한발 더 나아간다. 3부 약자들의 아픔에 공명하는 '우리의 고통이 언어가 될 때'에서는 알지 못하는 고통의 크기와 깊이 앞에서 듣고, 기억하고, 공부한다.

나는 1부에서부터 이어진 저자의 태도가 타인의 슬픔에 가닿기 위해 자신을 슬픔을 이해하고, 그 속에 자리한 무수한 타자의 흔적을 발견하는 여정으로 보았다. 그리고 동행을 선택했기에 새로 태어나는 말들을 지켜볼 수 있었다. 때론 고통스럽고 아팠으나 적절한 언어를 찾지 못해 표현할 길이 없던 날에 비하자면 더는 서럽지 않았다.
.
.
🔖내 어머니는 옥상에서 뛰어내린 순간, 더 이상 누구의 어머니도, 아내도, 딸도, 며느리도 아니게 되었다. 그녀는 그녀 자체로 온전한 '자신'이 되었다. 그녀는 패배함으로써 패배자가 아니게 되었다. 그녀는 '갇히기를 '거부'한 것이기에. 이러한 선택을 옹호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것이며 비윤리적인 일임을 알고 있다. 다만 이러한 선택 또한 존중받아 마땅함을 나는 이야기하고자 한다. 자살은 더 이상 숨겨야할 수치스러운 죽음의 영역이 아니다. 오히려 ㅈ살은 기꺼이 양지로 끌어내어 활발히 논의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나는 이제 침묵하기를 거부하고 이야기해야만 한다. P152

🔖치욕을 이기는 건 사랑이다. P184

🔖질문을 멈추지 않는 동안 살아 있게 된다. 질문함으로써 죽음을 유보한다. 폐허 위에 서서 질문으로써 씨앗을 심는다. 그 무수한 질문들이 내 삶이 뿌리 내리고 나무의 싹이 나고 숲을 이룰 때까지. 그 질문들의 뿌리는 사랑이다. 당신을 사랑하는 한 나는 질문한다. 당신에 대한 끊이지 않는 질문이 나를 살게 한다. P218
.
.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