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편지 - 보부아르와 넬슨 올그런의 사랑
시몬 드 보부아르 지음, 이정순 옮김 / 을유문화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런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제가 진실하게 말하고자 애쓰는 것은 사랑에서 비롯됐으며, 그것이 "당신을 사랑합니다"라고 단순하게 말하는 것보다 더한 사랑을 표현하는 것임을 당신은 느끼나요? 제가 당신의 사랑을 갈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당신의 사랑을 받을 자격을 강렬하게 원한다는 걸 느끼나요? 당신 어깨에 제 머리를 기대게 하고 정다운 마음으로 이 글을 읽어 줘요. 어쩌면 제 편지가 유치해 보일지 모르겠어요. 당신은 제가 말하는 것을 이미 알고 있으니까요. P88

-시몬 드 보부아르, 『연애편지』
.
.
❝서른아홉부터 쉰다섯까지
보부아르 인생에서 가장 열정적이고 솔직한
사랑의 속내가 담긴 서한집❞
.
.
📖보부아르와 사르트르의 사랑? 예상치 못한 주어가 나타났다. 보부아르와 넬슨 올그런의 사랑이 그것이다. 보부아르가 프랑스의 대표적인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와 50여년 동안 계약 결혼을 한 것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넬슨 올그런과의 사랑은 생소했다. 그리고 이들의 솔직한 감정이 가감없이 드러나는 서한집의 존재에 1차 충격이었고 페이지를 넘기다보면 보부아르의 거침없는 애정 표현에 어안이 벙벙했다. 1차 충격적인 요인은 이정도로 사생활 보장이 없었나 하는 부분이었지만(물론 당사자 본인은 예감했던 일이지만) '나의 남편'과 더불어 다양한 애칭은 물론 '제게 키스해 줘요. 아주 강렬하게' 등 사랑을 갈구(?)하는 모습은 오히려 내가 설레곤 했다(네가 왜...?).

달뜬 마음으로 읽다 보면 한가지 간과한 사실이 있었는데 보부아르는 프랑스인, 넬슨 올그런은 미국인이다. 스마트폰은 커녕 E-MAIL도 없던 시절 파리와 시카고는 얼마나 멀던지! 그렇지만 대서양을 횡단하는 편지속에 둘의 모국어가 달랐을지언정 언어적 장벽은 당사자들에게 사랑을 더욱 견고히 하는 매개체처럼 보였다. 게다가 보부아르가 프랑스 이야기를 세세히 서술하기 때문에 21세기의 독자는 당시의 상황은 물론 카뮈, 콜레트, 자코메티, 피아프, 장 콕토 같은 예술가들을 사적으로 만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몇 안되는 아는 이름 나오면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당사자들에게는 미안하지만 대외적으로는 연애 편지로, 내밀하게는 기록문학으로써 읽는 재미가 쏠쏠했달까.

다만 이들의 사랑이 17년동안 한결 같았던 건 아니다. 그사이 헤어짐이 있었고 그후로도 무려 10여 년이나 계속 편지가 오고 갔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내가 벽돌책을 부지런히 읽은 까닭도 바로 그 지점, 결별 후에 어떤 내용의 편지가 오고 갔을까 하는 궁금증때문이었다. 글쎄, 뭘 기대했던 건진 스스로도 모르겠다. 어떤 극단적인 변화나 혹은 날 선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짐작만 했을 뿐이다. 되레 이들을 통해 남녀간의 사랑을 너무 획일적으로 재단하고 있던 나를 다시 알게 되었달까. 굳이 남녀 구분을 하지 않고 인간 대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들의 편지는 사랑 너머를 보고 있는 듯했다.
.
.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손편지를 즐겨 쓰는 내게 편지지라는 공간은 떠오르는 숱한 말들을 쓰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펜을 들기 전까지의 마음과 고심하며 단어를 고르고 문장을 완성하며 짧게나마 소요되는 시일을 계산하고 수신인에게 당도했을 때의 기쁨까지 모두 미리 담겨 있다. 그런 감정을 아니까 편지를 쓰는 보부아르의 모습이 괜히 선하다. 17년, 304통- 숫자가 주는 의미보다 더 큰 무언가가 있다. 그것은 아마 보부아르만이 아는 것이겠지. 나머지는 독자의 몫.

(지극히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애틋함, 또는 계속 쓰고 싶은 마음이라고 해야지.)
.
.
한가지 아쉬운 점은 넬슨 올그런의 답장을 볼 수 없다는 것 ㅜㅜ 올그런의 미국 대리인들이 거부했다는데... 언젠간 완전판으로 만날 수 있을까.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eulyoo

#연애편지
#시몬드보부아르
#을유문화사
#서한집 #보부아르 #편지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