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 마텔 101통의 문학 편지
얀 마텔 지음, 강주헌 옮김 / 작가정신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얀 마텔 101통의 문학편지』
#얀마텔 / #작가정신
.
.
🔖근데 제가 좋아하지 않는 책을 수상님께 보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한 가지 타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마음에 들지 않는 책까지 폭넓게 읽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폭넓게 읽어야 독학자가 흔히 빠지는 함정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독학자는 자신의 한계에 맞는 책들을 주로 선택해서 그 한계를 굳혀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령에 따라 학교를 옮겨가며 받는 체계적인 학습이 이점이라면, 수세기 동안 구축된 사고 체계에 비교해서 자신의 지적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새로운 생각들을 겁먹지 않고 받아들이게 됩니다. 달리 말하면, 우리는 좋아하는 책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좋아하지 않은 책을 통해서도 배워야 한다는 뜻입니다. p301
.
.
📖"요컨대 문학 작품을 전혀 읽지 않았다면, 그의 마음속에는 대체 무엇이 있겠는가? 인간 조건에 대한 통찰력을 어디에서 얻었겠는가? 인간다운 감성을 어떻게 구축했겠는가? 무엇은 근거로 상상하고, 그 상상의 색깔과 무늬는 무엇이겠는가?"

독자에게 묻고 있지만 사실 명쾌한 해답을 행동으로 옮긴 것은 얀 마텔이다. 그는 캐나다 총리 스티븐 하퍼에게 2007년 4울 16일부터 2011년 2월 28일까지 101통의 문학편지를 보낸다. 보좌관들이 대리 작성하는 형식적인 답장을 겨우 7통 받았지만 그는 "어김없이 격주"로 꼬박꼬박 책과 함께 편지를 발송한다. 사실 상대방이 보이는 이 정도의 성의(?)라면 그만둘 법도 한데 얀 마텔의 집념이 엿보이는 대목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 집념은 단순한 오기가 아니라 진심인 게 느껴지고. 캐나다 전 총리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독자 입장에서는 책이 책을 부른다고, 얀 마텔의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생경한 작품에서의 이끌림은 물론이고 이미 읽은 작품이더라도 다시 보인다. 이 작품은 어떤 시각으로 보면 좋을지, 또는 독서행위를 넘어 소설, 희곡, 시집, 종교서, 그래픽 노블, 아동서 등 장르를 넘나드는 통찰력은 감탄을 불러일으킨다. 삶의 지혜 같은 것들도 넙죽 받아 먹고; 총리님 덕분에 숟가락 거저 얹는 느낌!

서간체라 수월하게 읽히고 세계문학에 대해 혹은 낯선 작품들을 다채롭게 조우하고 싶다면 이 책을 단연 권하고 싶다. 목차만 보더라도 101통의 편지에 101권의 책이 등장할 거 같지만 실제로 이 책속에서 만나는 제목들은 어마어마하다. 특히 캐나다 독자들이 총리에게 추천하는 목록까지 더하면 책속에 책이 그득그득 차있다.
.
.
🔖정신세계에서의 안락과 과도한 친숙함은 안정이 아니라 정체의 징후입니다. 따라서 끊임없는 사색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는 생각하는 행위에서만 잉태되기 때문입니다. p400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
.
#얀마텔101통의문학편지
#문학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