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은 사랑을 말하지 않는다 - 밤하늘과 함께하는 과학적이고 감성적인 넋 놓기
김동훈 지음 / 어바웃어북 / 2022년 3월
평점 :
『별은 사랑을 말하지 않는다』
-밤하늘과 함께하는 과학적이고 감성적인 넋 놓기
김동훈 지음 / #어바웃어북
.
.
🔖낮이 땅의 세계라면, 밤은 하늘의 세상이다. 먼 옛날 우리는 밝아오는 새벽빛에 별빛이 바래어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 별과 이야기를 나누었을 것이다. 지금 우리는 밤새 이야기 나눌 별을 잃어버려 이렇게 방황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p138
.
.
📖문득 밤하늘을 올려다본 게 언제적인지 떠올려봤다. 아마 이 책에 시선을 두었던 시간보다 적을 것이다. 어디 그뿐인가, 오직 별을 '잘'보기 위해, 일생에 단 한 번을 위해 질색인 등산을 하며 몽골이고 칠레고 심지어 북극에도 사비를 들여 다녀오는 저자덕분에 타국의 밤하늘도 실컷 탐닉할 수 있었다. 그곳에는 천지창조를 떠올리게 하는 개기일식이, 신과 인간의 이야기가 깃든 별자리들이, 우주 천체의 역사가 그리고 가장 밝게 빛난 후 생을 마감하는 별의 죽음도 있었다.
.
.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와 220만 광년이나 멀리 떨어져 있지만, 시속 40만km 속도로 우리 쪽으로 다가오고 있다. 1시간 만에 달에 갈 수 있을 만큼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지만, 안도르메다 은하가 우리에게 도달하는 건 40억 년 후다. 그때가 되면 안드로메다 은하는 밤하늘에서 은하수 옆을 가득 채울 정도로 다가와서 아주 멋진 광경을 보여줄 것이다. 그러나 그때까지 인류가 살아남아 이 모습을 볼 수 있을 것 같지는 않다. p250
.
.
📖 별은 단지 물리적 거리만 따져보아도 그저 아득하기만 하다. 지구에서 약 8500광년 떨어져 있는 '웨스터룬드 1성단'처럼 광년이나 시간으로 다시 환산하면 그 아득함은 다시 헤아려볼 엄두조차 나지 않는게 우리와의 거리다. 칼 세이건이 표현한 대로 우주에서 이곳은 그저 '창백한 푸른 점'에 불과하고 그 작은 점안에서 우리는 우주의 먼지보다도 더 작은 존재들이다. 그럼에도 우리 인간들은 그 옛날부터 별을 동경하고 하늘을 올려다보지 않았나. 달력을 만들고 결국엔 달에 발을 디디고, 과학적 탐구와 성취를 이루어내고, 우리 일상속 다양한 분야에서 가까이하고 있다. 그런 생각들이 켜켜이 쌓이면 우주의 광활함에 나의 존재가 보잘 것 없다기보다 오히려 꿋꿋하게 하루하루를 살아내고 있음에 경이로움을 느끼기도 한다.
.
.
🔖우리는 별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지만, 별은 우리에게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무량한 별 가운데 어떤 별도 사랑을 말하지 않는다. 그저 깜박이며 빛날 뿐이다. 무심하다. 그게 별의 본질이고, 우주의 본질이다. 함께하는 사랑이 아니라고 서운해하거나 슬퍼할 필요는 없다. 인간은 무심한 존재에게도 사랑을 전할 수 있는 우주의 유일한 창조물이니까. p30
.
.
📖이 책은 내게 200여 개의 사색과 별의 사진을 감상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학적 감성과 천문학적 지식, 이름 몰랐던 별들의 얼굴과 이야기가 담긴 한권의 별천지가 되어준다. 언제든 138억 년을 거슬러 시공간을 우주로 데려다주는 길을 터주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고마운건 잊고 있었던 하늘을 다시 올려보는 별멍의 시간을 선물했다는 것이다. 이 책과 함께 오래도록 말이다.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고맙습니다🙇♀️ @aboutabook_pub
.
.
#별은사랑을말하지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