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술의 정원 - 서양 미술로 읽는 정원의 역사
루시아 임펠루소 지음, 조동범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2월
평점 :
『예술의 정원』
-서양 미술로 읽는 정원의 역사
루시아 임펠루소 / #RHK
#도서협찬
.
.
🔖"예술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_폴 세잔
.
.
📖때마침 동시에 읽고 있던 마틴 게이퍼드의 「다시, 그림이다」에서 이런 일화가 나온다. 데이비드 호크니는 감옥에 수감되어 있는 친구에게 책을 보내는데 베니스터 플레처 경의 「건축의 역사」라는 책이었다. 호크니는 그 책의 사진들을 감탄하며 들여다보았을 뿐이지만 친구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 책은 내가 이제껏 처음으로 읽어본 세게사라네."
내게는 이 책이 그런 인상을 주었다. 어떤 관점으로 보느냐에 따라 해석과 이야기의 흐름이 달라진다. ▪️첫번째는 주제별로 그림속 정원의 특징이나 상징, 설명같은 지식+정보로써의 역할이다. 9개의 파트로 나뉘는 정원은 각기 다른 주제로 흥미를 돋군다. 고대 이집트나 그리스가 속한 '성과 세속의 정원', 제왕들의 정원을 엿볼 수 있는 파트와 대비되는 대중을 위한 공공정원, 정원을 구성하는 요소부터 생활까지.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문학작품에 결합한 주제는 언제나 이목을 집중시킨다. ▪️두번째는 시대에 따라, 필요에 따라 그 모습이 바뀌는 정원에서 역사의 흐름을 볼 수 있다. 정치, 사회적으로의 변화는 고대부터 19세기의 정원에도 영향을 미친다. 시대를 반영하며 상징과 의미 또한 모습을 달리한다. 그속에서 사람들의 일상과 정원의 역할로 자연스레 역사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세번째는 그야말로 순수하게 회화작품이나 예술작품을 보는 즐거움이다. 보통 인물이나 건축물을 중점으로 봤다면 배경으로만 밀어뒀던 정원을 알아봄으로써 폭 넓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
.
정원 조성의 일차원적인 생각들을 한권의 책으로 다채로운 시각을 가져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
.
🔖이렇듯 시간이 흐르며 정원은 변해왔다. 비교적 내구성이 있는 벽돌과 대리석 소재를 사용한 건축물과 달리, 정원은 부서지기 쉬은 재료들로 구성되어, 세월이 흐르면서 최초 형태를 유지하기조차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원이 품고 있는 기억은 시긴의 문장 속에서 보존되었고, 화가의 그림과 드로잉 속에 새겨졌다. p10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rhkorea_books
.
.
#예술의정원
#서양미술 #정원 #식물 #가드닝 #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