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 - 지옥의 풍경, 요한계시록부터 단테까지 해시태그 아트북
알릭스 파레 지음, 류재화 옮김 / 미술문화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마』
-지옥의 풍경, 요한계시록부터 단테까지
알릭스 파레 지음 / #미술문화
#해시태그아트북
.
.
🔖두 번의 세계대전을 겪고 나서 인간의 얼굴은 슬프게도 악마의 얼굴로 변했다. 인간 얼굴에 박쥐 날개와 뿔이 달리기도 했는데, 이것은 과거 전통사회의 민속화에나 나타나던 도상이었다. 악마를 그리는 화가들은 개인적 스타일과 세계관에 따라 자유롭게 악마를 표현했다. 회화에서는 예술적 재량을 발휘하면서도 신중하게 접근했다면, 대중문화나 일상 언어에서는 악마 이미지가 강력한 존재감을 발휘했다. P8
.
.
📖미술사에서 알아보는 악마의 기원과 변천사, 그리고 지옥의 풍경. 아무래도 근대 들어서 인간의 형상을 한 악마 이미지가 각인되었는데 이 책 덕분에 고대부터 중세-르네상스시대의 악마들도 볼 수 있었다.

고대 신화나 성서에서 영향을 받은 염소/박쥐/뱀/용같은 동물들의 특징이 흉측하게 살아있는 악마의 모습을 보인다면 중세가 지나서는 인체의 특징이 눈에 띄는데 이 지점이 흥미로웠다. 내딴에는 이렇게나 늦게? 싶어서. 악마가 등장하는 작품이 6세기부터 꾸준한 걸 보면 이또한 영감의 원천 중 하나겠지. 그만큼 매력적이기도 하고. 보통 선과 악이라하면 자연스레 떠올리는 것이 천사와 악마라지만 결국엔 인간이라는 하나의 존재로 변환되지 않던가. 그런 맥락에서 나는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의 연도를 확인하는 재미가 있었다. 인간과 악마가 뚜렷이 나뉘는 지점에서 어느 시대부터는 경계가 흐릿해지는 부분은 외적인 것에서 내적인 것으로 옮겨오는듯 했다.

단순히 회화작품만 기대했는데 조각상이나 현재 생존한 작가의 작품도 있었다. 퀄리티 높은 그림도 그림이지만 한 작품마다 저자의 해설이 빛났다. 저절로 따라오는 지식과 정보는 물론 작품만 볼 때와 해설을 읽고 다시 볼 때의 차이는 확실히 다르니까. 작품 하나가 완전해지는 느낌이었다. 또 그렇게 한 권에 모아 볼 수 있다는 게 소장가치와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TMI
-악마를 다룬, 영향을 끼친 문학작품들, 단테의 「신곡」, 존 밀턴의 「실낙원」, 괴테의 「파우스트」가 등장하면 반가웠으나 읽지 않아 오롯이 느끼지 못해 아쉬웠다. 위 작품들과 함께 본다면 더 재밌을 텐데!

-전면에 클로즈업한 그림이 한번씩 등장하는데 오밀조밀 디테일 들여다보다가 깜놀한 게 한두 번이 아니다🥲
.
.
🔖중세에는 신자들에게 공포감을 주기 위해 괴물 악마를 최후의 심판 '지옥' 장면에 크고 비중 있게 다뤘다. 이제 악은 인간 외부에 있지 않다. 인간 내면에 있다. 사탄은 서서히 성당에서 사라졌다. P32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입니다🙆‍♀️
.
.
#악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