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마음 - 뇌, 몸, 환경은 어떻게 나와 세계를 만드는가
앨런 재서노프 지음, 권경준 옮김, 허지원 감수, 권준수 해제 / 김영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뇌에 관한 이야기들로는 뇌 손상을 입고 식물 인간
상태가 된다거나, 뇌사라면 완벽한 죽음에 이른다.
뇌는 죽음과도 가깝지만 치매나 정신질환에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우스갯소리로 엉뚱하거나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을 볼 땐 심장이 아닌, 머리가 돌았다며 뇌를
탓하기도 한다.
뇌는 여전히 미지의 세계고 정복하지 못한 인간의
일부이자 인간의 신체 중 가장 신비화된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의학적으로 다가가면 두려운 마음이 크지만
과학적으로 다가가면 분명 흥미로울 이 책의 저자는
뇌를 넘어 인간 존재와 마음까지 들여다보며
뇌의 오류에 대해 반론하며 인간을 설명한다.
신비화된 존재를 경계하면서도 현재 뇌과학의
위치를 바로 알려주는 "현재 뇌과학의 명쾌한 입문서"의
매력도 느낄 수 있다.


→ 공상과학영화처럼 뇌를 해킹하면 사람을 바꿀 수 있다?
첫 번째 오류: 추상화


→뇌가 클수록 지능이 높다?
두 번째 오류: 복잡화


→사랑하는 연인을 바라볼 때 활성화되는 뇌 영역이 있다?
세 번째 오류: 구획화(국재화)


→‘예술가의 뇌’ ‘과학자의 뇌’처럼 특별한 뇌는 타고난다?
네 번째 오류: 육체의 분리



→뇌는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다섯 번째 오류: 자율성



뇌과학에 관한 책이라면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저자는 전문용어를 사용하더라도 예시로는 일상 속에서
친근한 사물이나 낯익은 인물들 또는 쉬운 소재로
다루기 때문에 거리감을 좁힌다.

참고로 이 책의 첫 줄은 "내가 처음 만진 뇌는 풀어진
계란 속에 덮여 있는 찐 뇌였다" 로 시작된다.
어떻게 페이지를 안 넘길수 있겠는가.
이렇게 흥미진진한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