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37가지 물고기 이야기 세계사를 바꾼 시리즈
오치 도시유키 지음, 서수지 옮김 / 사람과나무사이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과, 10가지 약에 이은 시리즈.
이번엔 물고기다!

처음엔 의아했다.
물고기가 세계사를 바꿀만큼의 위력(?)이 있었던가.
게다가 무려 37가지 이야기가 있다니!
(37종의 물고기 이야기로 오해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고개를 갸우뚱하며 펼친 책에서는
평소 상상도 못했던
이야기들이 세계에 있었다. 곳곳에, 만연에 -


모든 알이 성체로 자란다면 우리는 발을 적시지 않고도
대구의 등을 밟으며 대서양을 건널 수 있을 것이다.
-알레상드로 뒤마

서양 음식문화의 중심에 '고기'가 자리매김하기 시작한 것은18세기 농업혁명 이후다.
중세 유럽 기독교 사회에서는 일 년의 절반 정도 기간에
생선을 먹고 살았다.
당시 가톨릭교회가 한 해의 반 가까이 되는 기간을
단식일로 지정해두었기 때문인데,
단식일 기간조차 생선 먹는 일은 허용됐다.
생선 소비를 적극적으로 권장하며 단식일이
'피시 데이(Fish Day)'로 재탄생하기도 했다.

자연스레 '피시 데이' 관습은 막대한 생선 수요를
창출했고 모든 흐름의 중심에 '청어'와 '대구'가 있었다.
37가지 이야기를 끌고 가는 두 주인공이다.

청어의 이동 경로 변화는 13~17세기 유럽의 세력 판도를 뒤흔들며 200년 가까이 상인조직인 한자동맹은 유럽의
경제적 패권을 장악했다.
하지만 청어 떼가 갑작스럽게 산란 장소와 회유 경로를
북해로 바꾸며 한자동맹은 급격이 쇠퇴하기도 한다.
그 바통을 존재감 없던 나라 네덜란드가 이어 받으며
신흥 강국으로 떠오른다.
청어로 부를 쌓아 동인도까지 진출했으니 네덜란드에
큰 몫(?)을 한 셈이다.

대구는 소금에 절여 햇볕에 바짝 말리면 5년은 거뜬히
보관할 수 있는 귀중한 식량이었다.
대륙과 대륙을 넘나들 정도로 장거리 항해를 했던
바이킹에게는 안성맞춤이었다.
신항로를 개척시대에 스톡피시와 소금에 절인 대구가
없었더라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네덜라드인도 스페인인도 포르투갈인도 뉴펀들랜드의
생선이 없었다면 서인도제도에 단 한 척의 배도 보낼 수
없었을 것이다.
소금에 절여 볕에 말린 생선 이외에 여태까지 상하지 않고
적도를 넘은 생선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p151

37가지 이야기중에서도 가장 흥미로웠던건 아무래도
셰익스피어가 등장할 때!
셰익스피어의 문학적 영감을 불어 넣었다거나,
'템페스트'에서 노예 캘리반을 '말린대구'에
비유하는 메타포라던가 또 그의 작품을 인용하여
설명하는 부분들은 문학작품 속에서도
물고기의 입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그리고 기독교와 물고기부터 고대까지 인류 역사의
아주 이른 시기부터 물고기가 등장한다


공물 목록을 살펴보다 보면 흥미로운 점이 발견된다.
즉 고대 유물에 등장하는 대다수 신이 '물고기 한 광주리'를
들고 있다는 사실이다.p289


메소타미아 문명이 번영한 수천 년 동안 농경의 상징인
물고기는 '농경'과 관계를 맺는 신들의 이야기에도
등장하고, '신약성서'에는 예수와 물고기가 함께 등장하는 기적도 몇가지 묘사된다. 사복음서에는 '오병이어(五餠二魚)의 기적' (예수 그리스도 주위에 모여든 5천여 명의
군중을 보리떡 5개와 물고기 2마리로 배불리 먹었다는
사건), 예수 그리스도가 사흘 만에 부활한 뒤
물고기를 낚던 베드로와 제자들 앞에 나타나는
장면도 기억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