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 개정판 ㅣ 현대사상의 모험 14
조셉 캠벨 지음, 이윤기 옮김 / 민음사 / 2018년 3월
평점 :
<신화의 힘>에서 조셉 캠벨에 대한 소개를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이 책과 조셉 캠벨의 연관성 내지 책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먼저 이 책은‘집단의 무의식과 원형’에 대해 탐구하는 융 학파의 견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인간의 영혼과 심상은 시대와 나라를 불문하고 그 모습과 결을 같이한다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여러 신화나 옛이야기, 동화, 민담에서 발견한 수많은 주제들을 모아놓고 스스로 ‘그것’이 밝혀지게 한다. 그는 이 책에서 인간이라면 거치게 되는 우리 인생의 모습을 간극과 행간을 뛰어넘는 시적 언어로 살려내고 있다. 토마스 만은 “시인적 본성은 심리학적 관심과 무관하지 않고, 심리학적 관심은 신화에의 관심과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 조셉 캠벨은 시인의 마음을 갖고 현대인의 마음속 모습을 신화를 빌어 생생하게 이 책에서 살려낸다.
이 책은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우리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책에는 옛날이야기가 가득하지만 그것은 상징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 삶의 모습은 궁극적으로 ‘이야기 될 수’ 없는 영역이다. 그리하여 저자는 수많은 이야기가 펼쳐진 숲을 걷다보면 저절로 ‘온전한 삶’이 떠오를 것이라고 여기며 이 책을 저술했다. 책 속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최신형 오이디푸스의 화신, 미녀와 야수의 속편이 오늘 오후에도 뉴욕의42번가와 50번가 모퉁이에 서서 신호등이 바뀌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그는 어린 시절에 우리가 읽은 동화 속 내용이 허무맹랑한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인류의 삶은 태초부터 그 뿌리를 같이 한다. 이 책은 삶의 신비로 가득하고,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는 이야기로 넘쳐흐른다.
인간의 삶은 문턱 넘기의 과정이다. 우리는 출생하고, 성인식을 거쳐 취업이란 것을 하고, 이성을 만나 결혼하며, 그 후 장년과 노년의 삶을 맞는다. 이 책은 삶을 살아가는 이라면 누구나 거치게 되는 모습을 이야기한다. 삶이 원활하지 않을 때 우리는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성인식을 제대로 거치지 못하고 어른이 된 남자가 있고, 이성과의 만남에서 온전한 기쁨을 맛보지 못하는 청춘이 있다. 그리고 인생의 묘미가 체화되지 못한 장년과 이승에서의 삶을 마무리 하지 못하고 죽음을 두려워하는 노년이 있다. 삶이 힘든 이유 중 하나는 적절한 때에 요구되는 인생의 과업을 해결하지 못해서이다. 이 책은 ‘온전한 삶’의 원형을 우리에게 선사하니, 인생이 힘들다고 여겨질 때 읽으면 좋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저마다 자기 인생의 영웅들이다. 이 책은 사람들에게 문제에 머무르지 말고 용기를 내어 삶의 중심으로 뛰어들 것을 당부한다. 지금의 삶이 우리가 살아야 할 인생이다. 생명은 매순간 그대를 부르고 있다. 거부하지 말고 뛰어들어 살아있음의 황홀을 체험하라. 기꺼이 죽임을 당하고 영광스럽게 재생하라. 나와 네가 둘이 아님을 깨달아라. 그리하여 삶과 온전한 화해를 하라. 저자는 이런 식으로 우리를 선동하며 나서고, 이 과정이 바로 삶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는 신화가 현대의 정신분석에 많이 기대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정신분석 장면에서 참여자는 자신의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두려운 용과 대면하게 된다. 이어서 욕지기가 나는 갖은 시련에 빠지게 되고, 호부와 액막이를 지니고 혼란 끝에 보편성의 영역으로 들어서게 된다. 마지막으로 세상의 편견을 바로 잡고, 넓은 관계성의 마당으로 나와 평온한 일상을 살아낸다. 결국 이 과정은 자기의식의 확장이고, 의식의 확장이 바로 삶이라고 저자는 결론짓고 있다.
캠벨은 이 책에서 신화의 이야기를 영웅이라는 가슴 떨리는 주제로 잘 정했다. 그에 맞춰 보편성 있게 목차를 훌륭히 잡았다. 그리고 옛날이야기라는 케케묵은 재료를 가지고, 누구보다도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게 진수성찬을 내놨다. 이 책은 의식의 확장을 이야기하고 있어, 나의 관심사인 ‘상담심리’, 즉 사람의 내면 변화 과정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나중에 내가 책을 쓴다면 이렇게 정리해 보고 싶다. 출발 : 삶에서 잘 안 풀리는 것, 자기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인식. 입문 : 관찰 과정에서 혼란에 빠지기, 세상에 대한 편견이 바로 잡음. 귀환 : 자기 자신에 대한 객관화 성찰, 젊은 세대에게 확신과 용기를 주기. 열쇠 : 삶의 시기에 따라 위의 과정을 반복, 되풀이 하며 삶을 살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