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하, 나의 엄마들 (양장)
이금이 지음 / 창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 한 장에서 시작된 놀라운 이야기,우리가 몰랐던 근현대사의 한 페이지"


<알로하, 나의 엄마들>의 세계에 들어가기 좋은 리드 문장으로 이 소개를 꼽겠다.

지금은 하와이, 조선에선 '포와'라 부르던 태평양 건너에서 날아온 사진 한 장.

거기에는 이국의 향기를 배경으로 다부진 눈매와, 짜게 흐르는 땀과, 노동으로 길든 손을 가진 조선의 남자가 서 있다. 지긋지긋한 가난과, 나라 잃은 설움 훌훌 털고 포와로 건너가 소작이 아닌 지주가 된 남자다.

조선의 여자도 고운 한복을 입고 화답의 사진을 찍어 보낸다.

포와는 일 년 내내 따뜻하고, 나무에 신발과 옷이 주렁주렁 열리고, 무엇보다... 여자도 무엇이든 배우고 공부할 수 있는 곳이라는 말을 가슴에 품고서. 부디 지금의 내가 그의 눈에 곱기를 바라며.

<알로하, 나의 엄마들>은 사진 교환으로 상견례를 대신하고, 편지 한 통으로 대화를 대신한 채 자신의 남은 인생을 이역만리에 건 일제 강점기를 통과하는 조선 여성들의 이야기다.


'사진 신부'라는 단어를 본 적 있다. 아직 신문을 보던 시절 새 책 소개 코너에서였다.

그때도 눈에 들어오는 키워드였는데 이금이 작가가 재빠르게 엄마들의 서사로 엮어냈다.

실은 여성 잔혹사일 것이 너무나 선연했기에, 읽기도 전에 마음이 아팠었다.

사진만 보고 시집을 가다니. 그것도 한 번 떠나면 다시 돌아오기 힘들 먼 땅에. 말이 되나.

그러나 이것은 실제 있었던 이야기이고, 그들에겐 그들의 선택에 대한 명분이 있었고, 조선에서라면 납득할 만한 이유였고, 이런 일이 가능했던 시대는 불과 100여 년 전이었다.

이 모든 것이 제목만으로도 선명하게 전해져서 벌써부터 슬펐다.

슬프고 아파서 도망가고 싶은 마음을 붙잡고 30페이지만 넘기면 게임 끝.

30페이지 이후부터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 데까지 불과 3~4시간밖에 안 걸렸다.

몰입감도 좋지만, 아프리라 예상했던 마음에 적절한 보상을 쥐여주어 가능했다.

여성 잔혹사를 물고 늘어지기보다, 그들이 자신들의 척박한 삶을 어떻게 극복하고 연대하는지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었다.


무거운 삶의 그늘을 머리에 이고 등에 지고 결국은 타인과 손잡고 통과해내는 이야기.

실제 사진신부의 삶은 이보다 더 가혹했겠지. 끝없이 펼쳐진 사탕수수밭이 형벌과도 같았겠지. 잠려고 누운 베갯잎에 조국에 두고 온 가족의 얼굴을 눈물로 새겼겠지.

그럼에도 삶은 계속 되고, 뜨거운 햇빛을 피해 들어간 그늘에서 웃기도 했겠지. 낯선 곳에 정 붙이고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갔겠지. 

이것은... 살아 숨 쉬는 누군가의 실재이자 실체겠지.

그런 생각에 다 읽고 나선 다시 아파왔다.


세상 모든 엄마들에게 안부를 묻고 싶어지는 책.

세상 모든 엄마들에게 엄마라는 호명 대신 그녀의 이름을 불러주고 싶게 만드는 책.

엄마에게 자신만의 고유명사를 찾아주면, 거름 대신 한송이 꽃으로 피어나지 않을까 기대하게 하는 책.

그런 마음이 드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