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연금술사
파울로 코엘료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의 속삭임에 귀 기울이는 방법



소설 《연금술사》는 보물을 찾아 나선 양치기 소년 산티아고가 여행하며 자아를 찾아가는 이야기다. 꿈에서 본 피라미드를 찾으러, 꿈에서 들은 ‘당신이 여기(피라미드)에 오면 숨겨진 보물을 찾게 될 것’이라는 말을 따라서 험난한 순례길에 나선 산티아고는 다양한 사건에 휘말린다. 그리고 매번 선택 앞에서 갈등하고 방황한다. 그럴 때마다 올바른 길을 알려주는 ‘표지’가 나타나 산티아고의 선택을 돕는다.


《연금술사》를 읽다 보면 ‘표지’라는 단어가 수없이 등장한다. ‘나아갈 방향을 알려주는 단서’ 정도로 설명할 수 있겠다.


“난 어떻게 미래를 짐작할 수 있을까? 그건 현재의 표지들 덕분이지. 비밀은 바로 현재에 있네. 현재에 주의를 기울이면, 현재를 더욱 나아지게 할 수 있지. 현재가 좋아지면 그다음에 다가오는 날들도 마찬가지로 좋아지는 것이고.”


언뜻 ‘표지’는 신호등의 빨간 불이 초록 불로 바뀌는 것처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만을 가리키는 듯도 하다. 파울로 코엘료는 나아가 이렇게 썼다.


“그대의 마음에 귀를 기울이게. 그대의 마음이 모든 것을 알 테니. 그대의 마음은 만물의 정기에서 태어났고, 언젠가는 만물의 정기 속으로 되돌아갈 것이니.”


즉 현재에 주의를 기울이라는 것은 내 마음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뜻이고, 내 마음에 귀를 기울여야 비로소 표지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화내도 괜찮아, 울어도 괜찮아, 모두 다 괜찮아》(크리스토프 앙드레 저, 다른세상)에서는 ‘자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각이란 은연중에 불청객같이 자기 안으로 쳐들어오는 마음을 통해서 내적 세계와 삶을 자각하는 것을 말한다. …… 겨울 하늘에서 홀로 반짝이는 별을 보거나 아무도 없는 길거리에서 새삼 느껴지는 발자국 소리에도 자각 경험을 할 수 있다. 존재감을 상실한 채 반쯤 찢겨진 상태로 벽에 붙어 있는 포스터도 우리에게 자각의 계기를 만들어 준다. 이처럼 자각 경험은 곳곳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렇다.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의 대화 소리, 도로변에 붙은 짤막한 광고 현수막, 외국어 공부를 하면서 접하는 문맥 없이 생뚱맞은 문장에서도 우리는 마음이 걸어오는 말을 들을 수 있고, 내 마음을 자각할 수 있다.


사실 산티아고가 보물을 찾는 여정은 끊임없이 갈등하고 선택해야 하는 우리네 인생살이와 닮았다. 우리는 자신의 마음에 온전히 집중하기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다. 일, 가정, 자기계발……. 신경 써야 할 일은 많고, 이 와중에 홍수처럼 흘러넘치는 정보들은 우리를 더욱 지치게 한다. 뒤집어 이야기하면, 산티아고가 표지를 따름으로써 마침내 자아라는 보물을 찾았듯이 우리도 마음의 속삭임에 귀 기울이면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진정한 행복과 만족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이 소설을 쓴 파울로 코엘료는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브라질 작가로, 국내에서도 수십만 명에 이르는 고정독자를 거느리고 있다. 하지만 그 명성만큼이나 호불호가 극명히 갈리는 작가이기도 하다. 당장 《연금술사》만 생각해봐도 단순한 구성과 철학적 통찰로 인간의 내면을 파고드는 명작이라는 평이 자자하지만, 밋밋한 구성에 보기 좋은 말만 늘어놓았다는 혹평도 만만치 않다. 이렇게 평이 엇갈림에도 무명작가에 가까웠던 파울로 코엘료를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올려놓은 소설 또한 《연금술사》다. 어찌 되었든, 매 순간에서 ‘표지’를 발견하는 산티아고를 따라가다 보면 저절로 마음의 속삭임에 귀 기울이는 방법을 깨우치게 되는 작품임은 분명하다.


이제 당신의 차례다. 앞만 보고 달리느라 지쳤다면, 내 마음의 소리를 듣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다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