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화상강연을 위해 볼리어 님과 화상연결 테스팅을 진행했습니다.


"한국에 "공유[재]"(commons) 개념이 얼마나 알려져 있나요? 화상강연에 참석하실 분들은 "공유[재]"(commons)에 대해 알고 오실까요?"


라고 질문을 하셔서


설명을 하다가 " "공유[재]"(commons)와, "공유경제"의 "공유"(sharing)가 원어는 다르지만 한국어로 번역했을 때 "공유"라는 말을 공유(^^;)하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commons와 sharing을 유사한 의미로 받아들이기 쉽습니다."라고 말씀드렸더니


『공유인으로 사고하라』는 이미 6~7개의 번역본이 출간되었고 1~2개는 지금 진행 중인데, 다른 언어들에서도 "commons"의 번역어를 둘러싼 어려움들이 있다고 귀띔해 주셨습니다.


볼리어 님은 책에서 자신의 입장을 리프킨 같은 공유경제 낙관론자들과 분명하게 구분 짓습니다.

기업들이 새로운 사업 기회로서 공유경제의 이점에 눈을 뜬 것을 어떤 변화의 전조로 보면서도, “이런 기업들이 사실상 공유[재]로 기능할지는 전혀 다른 문제이기는 하다”(185쪽)고 씁니다. 


“기업들은 ‘공유’(sharing)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때에만 ‘공유’를 지지”(186쪽)하기 때문입니다.


볼리어가 “공유인”이라고 말할 때도 “sharer”이 아니라, “commoner”입니다. 볼리어의 공유인(commoner)은 에어비엔비에 자신의 숙소를 내놓는 사람이나, 우버 택시 사용자, 또는 그런 공유경제 기업을 만든 사업가로 국한되지 않는 정체성인 것입니다.


공유[재](commons)에 대한 논의는 우선 “사유재산권이 함축하는 사회적 질서나 관계에 의문을 던진다”(222쪽)는 점이 분명합니다. 또 내 것을 다른 사람들과 공동으로 소유한다기보다는(공유경제) “내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공동의 책임이 있다”(259쪽)는 것이 공유[재]에 있어서 중요합니다.


화상강연에 오셔서 더 많은 논의에 함께해 주세요.

신청 : http://bit.ly/1DPuolZ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유경제에 대한 엇갈린 평가

제레미 리프킨과 로버트 라이쉬 간의 입장차가 화제입니다.


대체 공유란 무엇인지, 우리는 무엇에 대한 대안으로 공유를 사고해야 하는지, 서로가 서로를 착취하지 않을 수 있는 공유란 어떤 것인지, 어쩌면 공유라는 말을 우리 수중으로 되찾아오는 것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


10/31 토 7시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저자 데이비드 볼리어 화상강연은 

바로 이런 문제들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데이비드 볼리어는 공유재를 15년간 연구해온 공유재 활동가이자 연구자입니다.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68352518


화상강연 안내 

http://blog.daum.net/davidbollier/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청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야성적 충동 - 인간의 비이성적 심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J. 쉴러 지음, 김태훈 옮김, 장보형 감수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과 영어 제목은 동일하지만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케인스의 animal spirit을 해석한 이탈리아 사상가 파스퀴넬리의 『동물혼』(animal spirit)을 오히려 추천.. 필요한 것은 야성의 통제가 아니라 회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석에 대하여 ―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역자 김동규 선생님의 강의를 소개합니다.


-----------------


[철학] 폴 리쾨르의 『해석에 대하여 ―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강사 김동규
개강 2013년 6월 24일부터 매주 월요일 저녁 7시30분 (7강, 105,000원)
 
강좌취지
이 강의에서는 폴 리쾨르의 『해석에 대하여 –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을 읽는다. 이 책은 폴 리쾨르의 해석학자로서의 면모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책이기도 하다. 그는 여기서 철학적 해석학과 반성철학이 새롭게 나아갈 길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 스스로 철학적 대화 상대자이자 대결 상대자로 설정한 프로이트에 대한 새로운 강해를 선보인다. 그저 정신분석학자나 심리학자로서가 아닌 유사-철학자로서의 프로이트의 사유를 매끄럽게 정리하는 것은 물론이고, 그를 반성철학적으로 전유할 수 있는 길을 보여준다. 이 책을 공부함으로써, 우리는 폴 리쾨르의 사유의 심연에 조금 더 다가감은 물론이거니와 라캉이나 지젝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 혐의의 대가를 해석할 수 있는 단초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강  폴 리쾨르와 『해석에 대하여』의 역사적 배경
2강  1권, 문제제기 읽기
3강  2권 1부, 에너지론과 해석학
4강  2권 2부, 문화 해석 읽기
5강  2권 3부, 에로스, 타나토스, 아낭케 읽기
6강  3권, 변증법 읽기
7강  3권, 변증법 읽기
  
참고문헌
교재: 폴 리쾨르, 『해석에 대하여 ―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김동규, 박준영 역, 인간사랑, 2013.
 
강사소개
서강대 철학연구소 연구원. 프랑스 현상학과 해석학, 종교철학을 주로 공부하고 있다. 레비나스, 마리옹, 리쾨르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이 있으며, 역서로는 레비나스의 『탈출에 관해서』, 테브나즈의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리쾨르의 『해석에 대하여 ―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 (공역) 등이 있다.

★ 수강신청 방법 : 수강신청 게시판에 글을 남겨주세요!




lev copy.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