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 - 그림 속 세상으로 뛰어든 화가 내 손안의 미술관 2
토마스 다비트 지음, 노성두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1월
평점 :
품절


인상깊은 구절

화가가 되려면 자연을 정확하게 관찰하는 눈이 필요했다. 화가의 눈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보배였다. 그리고 숙련된 손이 필요했다. 열심히 연습을 거듭해서 숲속에 우거진 나무들과 그 사이로 소낙비처럼 쏟아져 내리는 햇살과, 사람들의 웃고 우는 표정과 자세를 그럴듯하게 그려내는 능력을 갖추어야 훌륭한 화가로 인정받았다.

 

여러 화가들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출간해놓은 내 손안의 미술관. 뭐든 시리즈로 되있으면 그 방대한 양에 부담이 가기 마련인지라. 이 책에 난 선뜻 손이 가지 않았었다. 하지만 렘브란트를 '그림 속 세상으로 뛰어든 화가'라고 표현한 문구가 가꾸 눈에 들어와 한참 뒤에야 집어 들었다.

 

대가의 이야기를 너무 얇은 책에 풀어놓아서 사실 위주로만 밋밋하게 나열된 건 아닐까 싶어 약간의 각오를 하고 책을 펼쳤다. 조금 지루하고 재미 없어도 끝까지 읽어 주기로 말이다. 각오를 너무 단단히 하고 기대를 너무 낮췄기 때문일까? 난. 어어? 하다가 점점 책에 빠져들게 되었다.

 

생각지도 못한 것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갔고, 내가 생각했던 뻔한 이야기가 아니라 색다른 이야기를 들려주었기에. 마침 내가 렘브란트 블루를 읽으면서 네덜란드의 시대적 배경이 궁금했던 차라 더 책의 내용이 쏙쏙 들어왔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네덜란드의 전반적인 사고를 알고, 그 사고의 역사적 배경을 알게 되자 렘브란트를 이해하기가 더 쉬웠다. 그리고 네덜란드의 또 다른 화가 고흐 역시 말이다.

 

내가 튤립을 좋아해선지 네덜란드는 꼭 한번 가보고 싶은 나라였다. 근데 네덜란드 사람들이 왕구두쇠들이었다니.. 책에 나와 있는 구절을 보고 난 깜짝 놀랐다. 아끼고 절약하는 건 분명 좋은 거지만 말이다.   

 

암스테르담을 여행했던 또 다른 영국인 오웬 펠덤은 달걀 껍데기 한 조각도 버리지 않고 알뜰하게 챙겨둘 만큼

지독한 근검주의자들이라고 네덜란드 사람들을 회고했다.

- <렘브란트> 중 에서 -

 

네덜란드가 성서에 나오는 벨사살 왕의 이야기로 탐욕이 가져오는 화를 가슴 깊이 각인하고, 칼뱅교의 근검절약을 중요시 하는 나라이었을 줄이야.  네덜란드의 이러한 문화 알고 나니. 고흐를 당시 사람들이 왜 그렇게 몬마땅해 했는지 이제야 좀 알것같다. 그전에는 왜 그렇게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간섭하는지. 동생에게 지원받아 그림그리는 고흐를 왜 그렇게 싫어하는지. 이해가 잘 안됬었는데, 이제는 알 것 같다. 당시에는 누가 약간의 사치만 해도 그주의 설교의 대상은 그 사람이 된다고 하니. 말 다했지.. ^^;;        

 

보물을 발견했을 때의 느낌처럼 읽으면서 기분 좋았던 책. 이 책과 함께 나온 시리즈의 책들을 모두 읽어봐야겠다. ^^*

 

 

 

- 연필과 지우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