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시간을 도둑질하는 사람들>
프랑스와 어울리지 않은 이름, 모하메드의 생을 그린 이야기.
이 글을 쓴 작가 로맹가리는 에밀 아자르라는 이름으로 `자기앞의 생`이라는 책을 냈다.
문단에서는 로맹가리가 감 떨어진 작가라고 못을 박아놓구선
이 책이 출판됐을 때 극찬을 했다고 한다.
사람의 고정관념이
한 작가의 작품성을 저평가했듯
프랑스의 빈민가에 사는 모모의 삶도
출신성분 때문에 저평가된다.
다들 모하메드를 모모라고 부르는데
모모를 키워준 로자 아줌마는 유태인이고,
모모는 알라신을 믿는 아랍인이다.
뭐, 모모에게는 상관없다.
유태인이나 아랍인이나 자기 앞에 놓여있는 생과 씨름해야 하는 운명이니까.
로자 아줌마는 엉덩이로 벌어먹고 살다가
몇 년 전부터는
예정에 없던 임신으로 태어난 창녀의 아이들을 돌본다.
모모도 그 아이들 중에 하나다.
엄마도 아빠도 모르겠지만
로자아줌마가 자신을 무척이나 걱정해준다는 것만은 안다.
앞으로의 할 일에 대해서는 생각 안해봤다.
입양을 고민하는 어른들에게
하자 없는 아이로 보여야하고 눈치껏 행동하며
꽤나 매력적으로 보여야 하는데
모모는 나이가 꽤 있어서인지 입양되는 것도 쉽지않다.
나이도 불분명해서 학교도 다닐 수 없다.
그래도 인생에 대해선 누구보다도 잘 안다.
주택 앞에서 명상을 즐기고
빅토르위고의 작품을 즐겨 읽는 하밀할아버지와 친구이기 때문이다.
할아버지는 곧잘 철학적인 이야기를 하는데
오래 산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삶의 모양이 깨져서인지 사람들은 인정해주지 않는다.
난 모모가 하밀할아버지에게서 들었던 이야기 중 이것이 가장 좋다.
하밀 할아버지가 종종 말하기를, 시간은 낙타 대상들과 함께 사막에서부터 느리게 오는 것이며, 영원을 운반하고 있기 때문에 바쁠 일이 없다고 했다. 매일 조금씩 시간을 도둑질당하고 있는 노파의 얼굴에서 시간을 발견하는 것보다는 이런 이야기 속에서 시간믈 말하는 것이 훨씬 아름다웠다. 시간에 관해 내 생각을 굳이 말하자면 이렇다. 시간을 찾으려면 시간을 도둑맞은 쪽인 아니라 도둑질한 쪽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174p
나의 생은 나를 비웃기라도 하듯 자신의 정체를 드러낼듯 말듯 하면서 내 주위를 배회한다.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지못하게 주어진 삶을 살아가게 하지만 빈민가의 오후는 천천히 흘러가고 생을 가장 정확하게 마주할 수 있다. 모모가 시간을 도둑맞아 두려워하는 것보다야 도둑질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우리의 생이 우리를 속여도 시간을 도둑질해 생을 아끼는 사람이 되고 싶다.
자기앞의 생은 70년대 후반 프랑스의 빈민가를 배경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차별의 벽을 보여주고 있다. 프랑스의 뒷골목은 장난끼 어린 모모의 시선으로 그려져 유쾌했지만 때로는 쓰게 느껴진다.
생이 둔 덫에 빠지지말고 시간을 운반하는 사람이 되고 싶었으며 모모의 행복을 돌려주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