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아이처럼 - 아이, 엄마, 가족이 모두 행복한 프랑스식 육아
파멜라 드러커맨 지음, 이주혜 옮김 / 북하이브(타임북스)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최근 육아서가 범람하여 포화되더니 북큐레이터들이 이젠 미국교육에서 프랑스교육으로 눈을 돌리는 모양이다.

<프랑스 아이들은 왜 말대꾸를 하지 않을까>와 거의 동시에 출간된 <프랑스 아이처럼>!

 

둘다 미국 동부 출신의 거의 중상류층에 속하다고 할 수 있는 열혈뉴욕엄마

들이 프랑스에 가서 혹은 프랑스 친구들의 육아방식을 보고 놀란 자신들의 체험을 적고 있다.

개인적으론 프랑스아이처럼이 보다 프랑스 육아이론을 잘 접목하여 정리한 듯하여 좋다.

 

프랑스에는 '육아'라는 단어가 거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교육'이라는 단어가 있을 뿐.

 

육아서도 우리처럼 각양각색의 신간들이 넘치는 것이 아니라 돌토여사의 책 정도가 고전처럼 있다고.

 

프랑스교육의 핵심은 '아이를 존중하되, 건강한 좌절감을 통해 건전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와 사회가 함께 키우는 것'이다.

물론 잘 알지만, 어디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인가?

 

하지만, 읽다보면 프랑스 역사와 문화전반에 걸친 사회시스템을 이해하게 되면 아, 그럴 수도 있겠다 싶다.

여성 노동의 필수화, 국가에서 대대적으로 밀고있는 보육시스템, 요리와 식사를 가장 중요시하는 풍토, 다른 사람에게 방해되는 행동을 극도로 저지하는 생활태도 등.

 

역시 아이는 부모만 키우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문화가 함께 키워야 함을 다시 느낀다.

 

프랑스 아니 아동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에밀》을 다시 읽는다.

정작 자신의 아이들은 고아원에서 보내버린 주제!에 에밀이라는 가상의 아이에 대한 교육관은 무릎을 치지 않을 수 없다.

이걸 고등학교 때 읽었으니 
범상한 나로선 그냥 루소의 《에밀》이었을 뿐이지.

미국 아이비리그식 보스턴 교육방식인 조기교육과는 다소 거리가 멀지만,
자연, 인간, 사물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교육의 실체는 크게 다르지 않다.

《에밀》에서 루소가 그런다.
플라톤의 《국가론》이 정치얘기가 아니라 교육에 관한 글이라고.

에이, 뭔소리 하며 책장에서 꺼내 넘겨보다
다시 《국가론》에 훌떡 빠진다.

어,어..진짜 그렇네 하며...

내가 아이를 기르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이 세상을 살아감에 있어 교육이 가장 기본임은 기원전에도 마찬가지였음이다.

국가론을 읽으니 소크라테스, 역시 멋지다!
《대화론》까지 가게 생겼다.

 

"이미 생계가 확보가 된 사람은 덕을 수련해야 한다"

부지런히 읽고 행해야 할터인데.

 

반딧불 같은 얕은 조명 아래 읽는
이 책맛이 요즘 좋다.

이리 주절주절 여기에 읊어대고 싶을만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