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 호랑이 탄 한국인과 놀다 - 우리 이야기로 보는 분석 심리학
이나미 지음 / 민음인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민담'의 차이는 무엇일까?

 

'옛날 옛적에 once upon a time, 어느 나라에 어느 마음씨 곱고 아름다운 공주가 살았대요~' 옛날 이야기를 읽을 때 기계적으로 나오는 구절이 바로 '옛날 옛적에~'인데, 이것이 신화와 민담을 구분짓는 중요한 요건이다.

 

즉 신화는 특정된 인물과 특정된 시공간에 대한 이야기이다. 단군신화나 동명성왕신화 등을 보면 주인공이 특정되어 있고, 시공간 또한 대략적으로 특정되어 있다. 반면 민담의 경우는 등장인물이 어떤 공주, 어떤 아이일 뿐이며 공간도 어떤 나라, 어떤 마을일 뿐 정확히 언제 어디서 누구와 관련된 사건인지 알 수 없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저자는 융을 통해 우리의 민담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 민담은 오랜기간 전해져 내려오면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이야기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집단 무의식 속에 있는 원형에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칼 융(Carl Jung, 1875~1961)은 집단무의식의 개념으로 분석심리학의 새로운 장을 열었던 정신의학자이다. 집단무의식이라든지 원형이라는 개념이 이해하기도 설명하기도 쉽지 않은데, 이 책에서는 '집단 무의식이란 태여날 때부터 갖춰져 있는 공통의 잠재력이고, 이런 집단적 무의식을 구성하는 선험적 조건들을 원형이라고 한다.'고 인용하고 있다. 민담에 스며들어 있는 우리의 보편적인 심리상태를 분석한다는 것이 어느정도는 이해가 된다. 그렇다고 이 책에서 대단히 어렵고 복잡한 이론들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고, 그저 원형적 경험을 이야기를 통해 이해하고 지금까지 경험해왔던 사람들의 행위에 비추어도 보았다. 

 

옛 추억을 떠올리며 가벼운 마음으로 재밌게 읽었는데, 가장 반가웠던 이야기 가운데 하나가 '쥐 둔갑 설화'이다. 사실 개인적으로는 매우 무서웠던 기억이다. 함부로 손톱을 깎아 버린 것을 쥐가 주워먹고 가짜로 변하여 진짜를 쫓아낸 이야기인데, 아주 어렸을 때 이 이야기를 읽고 두려움에 떨며 '그래서 어머니께서 한 곳에서 손발톱을 깎고 휴지에 꼭 싸서 버리라고 하셨구나'하고 나름 그 이유를 깨달았던 기억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