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 뻔한 세상
엘란 마스타이 지음, 심연희 옮김 / 북폴리오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2016, 우리가 어렸을때 상상했던 공중에 차가 날아다니는 그런 과학이 발전된 사회.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유토피아 세상인 지금. 1965년 위대한 과학자 라이오넬 구트라이더가 발명한 무한 에너지 덕분에 인류는 오로지 엔터테이먼트만 발전 시켜야 할 사회가 되었다. 천재 과학자인 아버지와 달리 바보 모지리 취급을 당하는 주인공 톰 배런은 어머니의 사망 덕분에(?) 아버지의 인생 최대 업적으로 남겨질 시간 여행 프로젝트 팀에 낙하산으로 들어가게된다. 그 중 가장 완벽했던, 팀 멤버 페넬로페 베슐러를 사랑하게 되지만 차갑고 완벽주의인 그녀 눈에 찰까싶어 짝사랑하고 있었다. 그러다 대망의 시간 여행 프로젝트 전날, 그녀와 하룻밤을 보내게 되는데 그 날 그녀가 임신하게 된다. 그녀의 임신으로 그동안 해왔던 훈련, 이 프로젝트 자체가 수포로 돌아가게 되어 그 충격으로 그녀는 자살을 선택한다. 홧김에 톰 배런은 시간 여행 장치를 타고 1965년 구트라이더 엔진의 초연 현장으로 무작정 떠난다. 그곳에서 톰 배런의 초보적인 실수로 그날 성공했어야 했던 구트라이더의 실험이 실패한다. 그 상태로 톰 배런은 다시 2016년으로 돌아오는데, 그가 다시 도착한 세상은 그의 기준으로는 끔찍한 디스토피아였다. 그가 생각한 디스토피아의 2016년은 지금 실제로 우리가 살아가고있는 현재이다. 톰은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좌절감에 빠지지만 자신이 저지른 실수를 만회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생각 외로 원래 살았던 2016년과는 달리 따뜻한 가족들과 성공한 자신의 모습, 거기다 사랑하는 여자까지 만나게 돼 원래의 우리가 살았어야 할 세상으로 돌아가야하는건지 고민하게된다. 그 답을 찾아 그는 공간과 시간을 거스르는 여행을 다시 떠나게되는데...


"나는 라이오넬 구트라이더나 커트 보니것이나 아버지 같은 천재가 아니다. 하지만 나도 나름의 이론을 가지고 있다. '사고'는 기술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영향을 준다.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은 우리에게 저마다의 '사고'를 일으킨다. 그 사고는 좋은 결과를 줄 수도 있고 나쁜 결과를 줄 수도 있다. 사람과 사람의 접촉은 반드시 어떠한 결과를 낳는다."

"아버지가 어머니의 유언을 잘 지켰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다르게 생각하고 싶다. 아버지가 비로소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이게 하려면, 어머니는 결국 죽기까지 해야 했던 것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