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험으로 사는 인생
폴 투르니에 지음, 정동섭 옮김 / IVP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모험이라는 단어는 젊은 사람들에게는 매우 매력적으로 들리는 말이다. 모험은 젊은이들에게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끼'와 넘치는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훌륭한 무대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얼핏 보면 아닌 거 같지만 많은 젊은이들이 이 모험이라는 것에 매료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왜 많은 사람들이 무섭다 무섭다 하면서 번지 점프를 하고 목숨을 걸어야 하는 에베레스트 등정에 자기자신을 내던지는가?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런데 폴 투르니에는 이 질문에 대하여 매우 명쾌한 답을 제시한다. 왜 많은 사람들이 모험에 매료되는가? 폴 투르니에는 이 것의 원인이 모험을 갈구하는 인간의 본능에 있다고 말한다. 모험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이 타고난, 다시말해서 하나님이 주신 본능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이 삶에서 없어졌을 때 우리의 삶에는 무의미와 무가치가 찾아오게 된다는 것이다.
폴 투르니에의 이러한 시각은 그가 대단히 많은 임상 실험의 경험을 가진 정신과 전문의라는 사실 때문에 신빙성을 부여 받기도 하지만 역사를 통해서 더욱더 확고하게 그 실효성을 인정받을 수 있지 않나 싶다. 대개 어떤 한 나라가 쇠퇴기에 접어든 시점은 그 나라의 문화 속에서 모험의 요소가 사라지기 시작하는 때이기 때문이다.
어떤 나라나 민족이 현실에 안주하여 모험을 거부하기 시작할 때.... 바로 그 때가 멸망의 시작인 것이다. 고려 시대 윤관 장군이 힘써 개척해 놓은 북동 9성을 나태함에 빠진 귀족들이 여진족에게 돌려주고 난 후부터 고려가 수난을 겪기 시작했듯이 삶에서 모험을 거부하기 시작한다는 것...... 이것은 곧 죽음으로 가는 신호탄이 된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삶 속에서 이런 죽음을 경험하는 것을 본다. 삶 속에서 하는 모든 일 가운데 모험이 사라지고 그 일들이 의무로 바뀌기 시작할 때 우리는 죽음 아닌 죽음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모험이란 어떤 것이기에 우리 삶에 이렇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것은 모험이 가진 다음과 같은 특성에 기인한다.
첫째 모험은 자발성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이다. 모험을 누가 시켜서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모험은 대개 혼자만의 결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벌써 여기서부터 일상적으로 하는 일과는 차별적인 요소가 생겨난다.
둘째 모험은 대개 높은 수준의 창조성을 요구한다. 대개의 경우 모험은 무(無)의 상태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길잡이로 삼을만한 전례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당한 수준의 창조성을 발휘해야 한다.
셋째 모험은 반드시 위험성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모험을 회피하는 이유이다. 하지만 이 위험성은 우리 삶에 긴장감과 스릴이라는 선물을 준다. 이는 모험이 가진 매우 역설적인 면이다.
모험의 이러한 세가지 특성은 모두 우리의 삶을 새롭게 만드는 요소들이다. 폴 투르니에는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모험의 이러한 요소들을 가미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삶을 모험으로 만드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환자를 상대할 때 대개 의사들이 어렵게 여기는 인격의학의 방법론을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단순한 의사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인격과 인격으로써 환자를 만나고 느끼고 이해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대개의 의사들이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이러한 방법을 자신의 환자 진료에 사용했을 때 그는 비로소 자신이 매일 같이 하던 지루한 환자 진료를 하나의 모험으로 만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렇듯 인생의 다양한 측면을 모험이라는 키워드로 풀어나가려고 한 폴 투르니에의 시도는 매우 신선하게 느껴진다. 나는 날마다의 삶 속에서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될 것 같다. 모험으로 살 것인가? 아니면 의무감으로 살 것인가? 끊임없이 모험을 선택하는 삶은 많은 어려움을 내게 가져다 줄 것이다. 그러나... 그래야만 내가 진정한 삶을 살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 방법은 하나뿐인 것 같다. 다음과 같이 기도하는 것이다.
'하나님 내게 모험을 즐길 수 있는 용기와 여유를 허락해 주시옵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