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ton 뉴턴 2018.9
뉴턴 편집부 지음 / 아이뉴턴(월간지) / 2018년 8월
평점 :
품절


 

 

중고등학생과학잡지 뉴턴 2018.9월호


#과학집지   #중고등학생과학교재   #뉴턴   #과학월간지뉴턴

 

안녕하세요, 안나김입니다.

학생들이 있는 집엔 보통 과학잡지 한 두개는 있는 것 같더라구요.
아이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이끌어주는 방법 중에 하나가
 


아이들의 시야범위내에 권하고 싶은 책을 두는 것~~!!!

그쵸~~..

다행히 울 아드님은 초등학교때부터 과학잡지는 엄청 좋아하더라구요.
초6 시작하면서부터 월간 과학집지 뉴턴 그리고 뉴턴하일라이트는  울 아들 뿐만 아니라 울 가족 모두를 위한
과학잡지가 되었답니다.

초등학생들한텐 좀 어려울 수도 있는 중고등학생과학추천잡지 뉴턴...
하지만, 굳이 작은 글씨는 읽지 않더라도 책을 넘겨가면서 사진과 큰 글씨만 보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의 흥미/ 관심 유발에는 아주 좋지요.

아시죠?
요즘 같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 과학이 얼마나 중요한지 ...

서론이 너무 길었나요?
죄송해요..
자~~..
이제  울 가족의 과학잡지, 과학월간지 뉴턴 2018년 9월호  리뷰 들어 갑니다.
고고고~~!

 ------------------


9월호도 흥미로운 주제 완전 많아요.


 


일론 머스크의 화성 이주 계획
말하는 AI
미음의 시계, 몸의 시계
무작위와 난수의 기묘한 세계

암이나 비만을 치료하는 새로운 기술 '에피게놈 편집'
어떻게 글씨는 지울 수 있을까? ( 연필과 고무지우개)
왜 색연필은 지워지지 않나?
 

 
 

잉카 제국의 뛰어난 외과 수술..
자외선으로 기억력이 상승한다!?
말기 유방암 치료에 성공

환자 몸 속에서 끄집어낸 '면역 세포'를 이용해 암을 없앨 수 있답니다.
대단하지 않나요?

근년의 암 치료법으로 '면역 요법'이 주목되고 있는데요..
면역 요법은 몸에 들어온 이물질을 없애는 메커니즘(면역)을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지요.
 

 
 

냄새를 잘 이용하면 우리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대요.
균형잡힌 식생활, 건강유지, 인간 관계 구축, 의욕과 기분의 향상, 악취대책, 해로운 벌레나 동물들의 통제 등 기대효과가 다양하지요.

 

 
 

졸음의 정체!!!

한창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최대의 적은 졸음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저도 학창시절에 .. 요 놈의 '졸음' 땜시, 졸음을 못 이겨  공부하는데 참 어려움을 많이 겪었었지요.

지금은 운전할 때 졸음 땜시, 넘 힘들구요.

졸음의 정체를 알고나면 그 대책법, 이겨 낼수 있는 뭔가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을까 싶네요.
그쵸~~..
 

 
 

연필과 고무지우개
어떻게 글자를 지울 수 있을까? 색연필은 왜 지워지지 않을까?

연필심은 '흑연'과 '좀토'를 섞어 1000도씨이상으로 구운다음, 기름에 담가서 만든대요.
종이에 글자를 쓸 때는 연필심이 종이의 섬유에 묻으면서 싺여, 흑연 입자가 종이 표면에 늘어선 상태가 된다네요.


종이 표면에 연필을 움직이면 연필심에 포함된 흑연 입자가 종이 표면에 늘어서고,
고무지우개로 종이를 문지르면, 고무지우개의 점착성에 의해
흑연 입자가 고무지우개에 달라 붙는 원리랍니다.


세계의 절경

공부에 지친 우리 아이들..
이런 멋진 세계의 절경을 보며 눈도 마음도.. 잠깐의 휴식 .. 마음의 여유를 가져봅니다.

 

 
 

뉴질랜드의 북섬에 있는 '와이오타프 서멀 원더랜드의 일부이며 지열 시재에요.
 

 
 

이탈리아 중부에 위치한 '치비타디바뇨레조'인데요..
융화회암으로 된 언덕 위에 있답니다.
 

 
 

민간 우주 개발 기업 '스페이스 엑스플로레이션 테크놀리스(스페이스 x)를 이끄는 미국의 기업인 일론 머스크씨에 의하면
 2024년에 사람을 태운 우주선을 화성에 보낼 에정리애요.

이번 뉴턴 스페셜에서는
머스크씨가 말하는 '화성 이주 계획' 내용과 그때 필요한 것들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화성 수송 시스템, 로켓엔진, 펠컨 헤비, 화성으로 가는 길..등...
현 단계에서 해결되지 않은 과제도 많지만, 인류가 붉은 행성에 내려설 날이 가까워지고 있지요.
 

 
 

인공지능은 어떻게 우리의 목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는 걸까요?
어떤 메커니즘으로 말의 의미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응답까지 가능한걸까요?

 

 
 

2018년 5월..미국의 구글에서..AI가 실제로 미용실에 전화를 걸어 점원과 대화하면서, 예약하는 음성이 소개 되었어요.

AI ..이미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선거지요.

 

 
 

AI는  목소리의 질이 달라도  공통되는 소리의 특징이 있고, 그것을 뇌가 인식하는 거랍니다.

 목소리를 알아드는 AI 의 메커니즘
음성의 주파수 분석, 소리를 특정, 알아들은 결과의 자연스러움의 검증, ETC ...

과학월간지 뉴턴9월호에서는
이렇게 AI와의 대화의 기본원리에 대해서도 알게 / 배우게  됩니다.

 

 
 

즐거운 시간은 빨리가고, 괴로운 시간은 길게 느껴지는 건 왜 일까요?

우리의 마음과 몸에 흐르고 있는 시간은 물리적인 시간,
그리고 우리가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과는 아주 다른 성징을 가지고 있는 것 같고, ..

과연 우리의 마음과 몸은 어떻게 시란의 흐름을 측정할까요?

 

 
 

어린이는 새로운 체험을 쌓고 세부에 주의하는 반면
어른은 같은 것을 되풀이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렇것 같대요.

 

 
 

'마음의시계'는 뇌의 어느곳에 있을까요?

과학잡지 뉴턴 9월호와 함께
그 이유 살펴봅니다.


이외에도 뉴턴 잡지..
다양한 읽을거리, 볼 거리 완전 풍부해요.

 

 
 


우리 가족의 과학잡지 뉴턴 ..

과학 좀 하는 아이라면?
과학에 대한 흥미 유발 시키고 싶다면?
과학에 대한 상식 풍부하게 쌓고 싶다면?

뉴턴~~..!!!!

 


 
 

#과학집지   #중고등학생과학교재   #뉴턴   #과학월간지뉴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