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 1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06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백승무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기는 즐거운 숙제였지만, 쓰기는 고난이다. 매력적인 글을 읽었지만 매력적인 리뷰가 나오지 않는 것에 작가를 탓할 수 없을 터. 톨스토이의 대작 중 하나를 골라야 했을 때, 분량과 책을 휘리릭 넘겼을 때 나오는 법정신 덕에 부활을 고른 건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 길고 비슷하며 종종 축약되는 러시아 이름이기에 각오하고 읽어야 하는 등장인물이 많지 않아 다행이었고, 번역도 자연스러워 안나 카레니나 보다 더 잘 읽혔다는 것 또한 언급하고 싶다. 톨스토이의 후기 작품이자 목적을 두고 쓴 글이기에 대작이라는 성호에 걸맞게 완성도도 높았다.


깨끗하게 읽을 줄 알고 시작한 터라 읽던 중 생각이 많아져 지금이라도 접기 시작할까 했을 때는 이미 늦어버려 스토리를 탐독하며 일독을 마쳤다. 서사가 뛰어나다고 생각했지, 해설에서 톨스토이의 부활이 소설의 형식면에서 내용에 압도당한다고 보는 시선이 있다고 했을 때 소설의 작법을 너무도 모르구나 생각했다.


사랑 이야기가 주가 아니라고 시작하고 싶었지만, 결국엔 사랑이다. 내 사랑에도 지난 잘못을 속죄하기 위한 책임감의 한 일종으로 결혼을 선택한 점도 있지만, 사랑하는 이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둘러싸는 제도나 기대하는 타인의 시선에서 깨달음을 많이 얻었다. 사랑이었던 카츄사의 타락을 본 네흘류도프가 사실은 자신의 각성과 속죄를 위해서지만 그녀를 위한다는 이유로 그가 태연이 속해왔던 그리고 안심하고 누려왔던 계급상, 제도상의 부조리를 인식하고 저항해가는 과정을 통해 종교, 토지 사유화, 법 제도 등 톨스토이가 비판하고 싶었던 세계들을 묘사한다.

네흘류도프가 마슬로프를 구하기 위해 상소를 하고 면회를 가며 교도소 내 갇힌 자들의 처우 및 상황을 참견하기 시작하면서 사법제도의 근본에 의문을 삼았다. 토지 및 사유재산을 처리하며 농노제도를 언급한 부분은 안나 카레니나에서의 레빈과는 비슷하지만 또 다른 관점을 보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톨스토이가 책을 쓴 목적이자 내내 근간이 되는 종교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데, 네흘류도프의 친구이자 원로원의 부검사장 셀레닌이 학습된 종교적 미신에서의 속박을 벗어나려 혼란스러워하는 장면과 책 마지막에 등장하는 자기 자신을 믿는 이름 없는 노인이, 무교인 내가 그나마 종교의 관점을 가까이로 이해할 수 있었던 인물이었다.


톨스토이 개인의 부활은 가족과의 불화로 아름답게 끝내지는 못한 것 같지만, 모순을 깨닫고 각성하고 속죄하려 노력한 것은 그의 생애 충분히 증명되었다. 이 책을 종교적인 의미로만 볼 것이 아니라면 사법제도, 사유재산의 독점 등 톨스토이가 지적한 모든 종교 및 사회적인 문제들은 여전히 현안이다.
 


종교에 관계없이 자신의 신념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무의식적으로 학습된 결과는 아닌지. 톨스토이가 마지막에 깨달은 대로 '사회와 질서가 유지되는 것은 타인을 심판하고 벌주는 합법적 범죄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이 타락한 사람도 여전히 사랑하고 연민으로 보듬어주기 때문'이라는 말이 사실은 가장 어려운 조건이라 느끼는 건 내가 부정적인 탓일까.

 

 

 

 

원문:https://blog.naver.com/amy0116/221165273173

"네흘류도프는 이 모든 부조리의 원인이 너무나도 단순명료하게 설명되자 되레 그 단순명료함을 인정하는 게 망설여졌다. 복잡한 사회 현상들의 원인을 그토록 끔찍하고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도, 정의와 선, 법과 종교, 그리고 신에 대한 모든 담론들이 그저 말뿐이고 추악한 사리사욕과 잔혹성을 은폐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것도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