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세계에서 살아남기 2 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 53
곰돌이 co. 글, 한현동 그림, 천종식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히포호를 타고 몸이 줄어든 지오와 케이가 우리 주변의 곳곳을 탐험하며

곰팡이와 효모를 탐험했던 미생물 세계에서 살아남기 1권에 이어  

2권에서는 미생물의 대표 주자 세균에 대해서 탐험을 합니다.


IMG_6303.jpg
 
세균은 바이러스와 비슷해 보이지만 생물인데 반해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 존재로 다른 생물에 기생해서만 살 수 있는 존재.
때문에 세균은 바이러스보다 덜 위험하며 항생제로도 고칠 수 있습니다.

image_4049212811479884712191.jpg
 
하지만 1차 세계대전 생화학 무기로 처음 시작된 탄저균
탄저균 실험 때문에 영국의 한 섬이 폐쇄가 되고 현재까지도 죽음의 섬으로 아무도 살지 않습니다.

IMG_6305.jpg
 
세균은 하나가 둘로 나뉘는 이분법으로 번식해서 짧은 시간에 엄청나게 많아질 수 있어
대장균은 한 마리가 열두 시간만에 무려 687억 마리로 불어 날 수 있습니다.

 

 

IMG_6306.jpg

 

세균을 정의하고 모양에 따른 분류, 번식방법, 세균의 생명력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는

과학 상식 페이지가 늘 유익한 미래엔 아이세움 살아남기 시리즈


IMG_6307.jpg

 

대장은 영양분을 분해하고 흡수하여 우리 몸 구석구석 전달을 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데 중요한 장기 중에 하나입니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대장균입니다.
우리 몸 중에서 가장 다양한 균들이 균형을 이루고 사는 대장

 


IMG_6308.jpg

 

대장뿐만 아니라 피부, 입속등 우리 몸을 둘러싸고 있는 세균들
특히 세균은 손을 통해서 가장 잘 옮겨지기 때문에 자주 손을 씻는 것이 병을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라는

공익광고 다시 한번 아이와 새겨봅니다.

 


IMG_6309.jpg

병을 고치기 위해서 사용되는 세균도 있는데 이를 항체라고 합니다.
이러한 항체는 병원체를 기억해 두었다가 다음번에 같은 병원체가 들어오면 빠르게 대응하여 병을 이겨내게 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만 12세 이하 모든 어린이들에게 결핵, 간염, 소아마비, 홍역, 풍진, 수두, 일본 뇌염, 파상풍 등 맥신을 맞도록 합니다.
 
image_6960916161479884712104.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