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 가는 풍경들
이용한 지음 / 상상출판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tv 드라마나 박물관, 민속촌에서나 볼 수 있는 옛집 풍경과 옛 문화에 대한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에세이

사라져 가는 풍경들

 

IMG_4084.jpg

 

옛집 풍경, 그 밖의 풍경들, 명맥을 잇는 사람들, 마을 문화 등 지난 15년 동안 여행을 다니며 본 것들을 담고 있습니다.

옛 것에 대한 그리움이나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아닌 존재했던 것은 존재했던 대로,

남아 있는 것은 남아 있는 대로 기억을 해 두고자 하는 시간의 기록이랄까?!

 

IMG_4085.jpg

 

IMG_4086.jpg

 

초가집을 자연친화적이고 소박한 문화, 평등의 문화, 부지런함의 문화로 우리네 주거문화를 대표하는 것이 초가 문화라는 신선한 주장을 시작으로

화로, 아궁이, 부뚜막, 굴뚝, 김치광, 물레 방아, 장독대 등 옛집의 풍경

 

IMG_4087.jpg

 

IMG_4088.jpg

 

IMG_4092.jpg

 

뒷간, 고무신, 바가지, 다래끼, 등잔, 키 등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들의 용도와 유래와 에피소드뿐만 아니라 

 짚신 삼기, 앉은뱅이 썰매 타기처럼 사라져 가는 풍경들

 

IMG_4093.jpg

IMG_4094.jpg

 

IMG_4095.jpg

 

소달구지 농사꾼, 떡 메질, 베 짜는 사람, 한과 만들기 등 옛 것의 명맥을 잇는 사람들을 보니

옛 방식을 변함없이 이어오는 명인들의 자부심을 느끼게 됩니다.

앞으로 사라져가는 풍경들이 될지라도 그들의 정신만큼은 영원히 사라지지 말아야 할 가치가 있는 것들이 아닌가 싶습니다.

 

IMG_4096.jpg

 

IMG_4098.jpg

 

IMG_4099.jpg

 

복잡한 도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시골길, 다랑논, 줄나룻배

아이에게 라떼를 말하는 나조차도 옛 풍경인 성주신과 서낭당, 정월 대보름 쥐불놀이와 달집태우기

지금은 문화를 공유하는 마을이라는 개념보다 일정 구역을 공유하는 단지라는 개념으로 주거가 형성되어 있다 보니

 이야기와 함께 많은 사진들이 수록되어 있지만 저에게는 낯선 마을 풍경들입니다.

 

IMG_4101.jpg

 

IMG_4100.jpg

 

" 이 세계는 무수한 사라짐 속에서 구축된 것이다. "

시대는 변했고 옛날로 돌아가 불편한 생활은 할 수 없으니 무조건 옛 것을 강요할 수는 없는 일이지만

존재했었던 것만으로 그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들의 기록

사실 그대로 왜곡 없이 있는 그대로 담담하게 담은 옛 것들에 대한 기록들이기에

10년이 지나도 유익한 자료로 남을 수 있을 수 있는 도서로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