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교육보다 강한 엄마의 정서가 명문대생 만든다 - 입시생 엄마의 3년 일
송민화 지음 / 마이카인드(MyKind) / 2021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입시생 엄마가 3년 동안 쓴 일기이다.
제목만 보고는 입시생의 3년간의 치열했던 기록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였다.
경쟁과 등수, 등급만이 중요한 현 교육에서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답은 간단하다.
책의 저자는 딸 연의 고등학교 입학부터 졸업까지 3년의 일을 일기로 썼는데 이 따님이 흔히 말하는 엄친딸이다.
전교부회장을 거쳐 전교 회장을 역임하고 봉사활동을 활발히 하지만 교과 학습도 자기주도로 전과목 1등급을 받는 학생이다. 도대체 이런 학생이 있을까? 싶은 진짜 모범생이였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마음이 가라앉으며 차분해지는것을 느꼈다.
주변에서 전해 듣는 완벽하고 또 완벽한 학생. 바로 그런 학생을 만난 기분이였다.
그런데 책을 읽을수록 고개가 끄덕여졌다.
3년간 도시락을 싸주고 자녀에게 늘 격려와 응원을 전하는 부모라니...
중고등학생을 키우는 부모는 잘 알것이다. 이 자체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이건 하루아침에 되는 일은 아니다.
이 가정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소중히 가꾸어지는지 책을 읽으며 느껴졌다.
이 책을 읽은 학부모들의 반응은 이러했다.
시간을 되돌리고 싶다.
‘나도 이렇게 키웠어야 하는데…’ 아쉬움을 느꼈다.
엄마로서 내가 잘하고 있는지 막막하고 불안했는데 이 책을 읽고 자녀교육의 방향을 찾았고 안도감이 들었다.
책을 읽고 작가님처럼 고2 아들에게 다가갔더니 아들이 이렇게 말하네요.
“엄마! 안 어울려.” 그 말이 이전과 다르게 상처가 되지 않았습니다.
저는 작가님과 유사한 방향의 모녀 관계입니다. 제 교육방법이 공인받은 것 같아 딸아이와 격한 호들갑 떨었습니다.
저는 직장맘입니다. 작가님처럼 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퇴근 후에 가능한 것은 해보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정말 다 같은 마음이구나.
많은 부모들이 이 책을 읽고 따라해보라고 권하고 싶다.
자식을 교육하는데 시기가 뭐가 중요한가?
나는 입시생을 둔 부모다.
그래서 더 이 책이 눈에 들어왔다.
읽는내내 부러웠고 나를 향한 반성에 마음이 무거웠다.
저자처럼 자식을 키웠더라면 결과가 달라졌을까? 하는 자책도 들었지만 지금은 이제라도 이 책을 만난 것을 감사한다.
그래서 나도 지금부터 일기를 써 볼 생각이다.
일기를 쓰는 것이 핵심이라는 얘기는 아니다. 단지 나는 자신을 좀더 객관적으로 보며 앞으로 해야할 일의 정도를 정하고 싶어서 시작하는 일이다.
자식을 키우는 것보다 내가 먼저 부모로서 성장해야함을 이 책을 통해 알게되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