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술 - 점수, 마구 올려주는 공부의 법칙
조승연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공부에는 물론 요령이 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공부기술이다. 그래서 같은 시간을 공부해도 당연히 성적에는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그러한 요령이 결코 남의 경험담에 의해 충족될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 책에서 다룬 그러한 노하우는 일반적인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내용보다는 조금은 파격적인 그래서 개인적인 내용이 많았다. 그래서 혹자는 이런 모르는것이 있었네? 하고 그것이 그 신비의 비법이라 생각 하지만, 난 결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특히 20분 마다 공부 과목을 바꾸라는 말은 매우 생소하게 느껴졌다. 물론 몇몇 책들에서 그런 방법들을 소개되어온 적은 있으나, 그 효과에는 회의를 느끼게 된다. 고등학생 중심으로 쓰여진 책 같으나, 대학에 올라가면, 몇시간 끙끙거려야 한 문제를 푸는 경우도 있다. 한 사람의 집중력이 고작 20분일까? 우뇌와 좌뇌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것을 강조했지만, 아무래도 설득력이 부족해 보인다.

또한 거리감을 느꼈던 점은 우리 교육에 대한 대단한 비판과 미국 대학에 대한 절대적인 우월감. 자기 자신에 대한 자만감이었다. 우리 나라 교육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 인정한다. 그러나 그것이 비교라면 문제가 된다. 어느 교육방법에도 문제가 있기 마련이다. 가장 덜 문제가 있는 교육방법으로 지향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의 서울대나 명문대가 그들의 학교보다 대단히 이하의 수준이라는 표현도 역시 거부감을 갖게 된다. 물론 세계 100대 대학안에도 진입하지 못했지만, 과연 그 잣대가 그 학교 학생 수준까지 결정지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우리의 선배들도 저자 못지 않게 공부했다. 하루에 도시락 몇개씩 싸가면서 새벽까지 도서실에 파묻혀 살았다. 방학도 없었고, 피아노,펜싱 뭐 이런 여유도 전혀 없이 보냈다. 조금 더 좋은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었던 기회와 자신의 능력을 혼돈 한면이 없지 않아 있어 보인다. 공부에는 물론 요령이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하겠다는 의지요 그리고 실천이다. 편해지려는 것은 결국 나태함을 말한다. 결코 공부가 지향하려는 목적이 아니다. 이 책을 읽는 수험생들이 그런 솔깃한 말들에 현혹되지 않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