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볼 (양장)
박소영 지음 / 창비 / 2020년 10월
평점 :
절판


스노볼을 한번도 가져본 적 없다. 그래서 우연히 마주하는 스노볼 앞에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다. 한번 뒤집어지면 더 아름다워지는 세상, 한번 뒤집었는데도 고요한 세상, 조용하고 완벽한 세상, 그 안에 행복하게 미소 짓는 모형이라도 있으면 괴기하다 느껴질 때가 있다. 아마도 나는 복잡하고 시끄럽고 아름답지 않고 완벽하지 않은 현실을 아직 더 좋아하나보다.

"겨울 평균 기온이 영하 41도로 꽁꽁 얼어붙은 세계에서 스노볼은 유일하게 따듯함을 유지하고 있는 지역이다. 그 따뜻함을 유지하기 위해 거대한 유리 천장이 돔처럼 둘렸고, 그 모습이 장난감 스노볼과 똑같이 생겼다고 해서 스노볼로 불리게 됐다." p.11

<스노볼>의 박소영 작가는 나와 다를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이 현실은 너무 복잡하고 시끄럽고 아름답지 않고 완벽하지 않아서 '스노볼 같은 세상이 있다면..'하고 즐거운 상상을 한 것 같다. 추운 겨울날, 따뜻해보이는 누군가의 집에서 단란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가족들을 바라보고 있는 성냥팔이 소녀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에게 <스노볼>의 이야기는 성냥팔이 소녀식 들여다봄이었을까, 짐작해본다. 그런 들여다봄으로 완성된 이야기는 현실이 제법 살만하다고 느끼는 나도 성냥팔이 소녀처럼 들여다보고 상상하게 한다.

"다이아몬드 팔찌를 차고 있는 해리를 보면서 푸세식 화장실 얘기를 듣고 있자니 딴 세상 이야기 같다. 물론 우리 집에도 옛 푸세식 화장실 터가 아직 남아 있다. 내가 살아갈 삶은 다이아몬드 팔찌보다 옛 푸세식 화장실에 훨씬 가깝다. p. 25-26

'액터'라고 불리며 드라마로 편집된 삶을 만천하에 방송하는 스노볼 사람들, 초밤은 그 중에서 자신과 닮은 해리를 좋아한다. 해리는 액터들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액터만 할 수 있다는 기상 캐스터에 낙점되며 '최연소 기상 캐스터'라는 기록을 만든 인물이다. 또 초밤은 그런 액터들의 드라마를 만드는 스노볼의 디렉터가 되고 싶어 최고 교육 기관인 필름 스쿨에 매년 지원하지만 올해도 떨어졌다.

"필름 스쿨 담당자께서 전초밤 씨를 만나러 오셨습니다." p. 45

그러던 어느 날, 반들반들한 털로 만들어진 긴 망토를 두르고 있고, 그 안으로는 고급스러운 검은 정장 차림을 한 처음 보는 남자가 초밤을 찾아온다. 그날 초밤은 거절할 수 없는 은밀한 제안을 받아 가족들도 속이고 스노볼로 가게 된다. 그 제안의 내용은 무엇일까? 스노볼로 가게 된 초밤은 어떻게 살아가게 될까? 설계가 잘 되어 빈틈 없는 상상력이 놀라웠고, 익숙해질만하면 새로워지는 내용이 흥미로웠다.

어떤 상상력은 현실 어딘가에 있다고 믿게 된다. 스노볼이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