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 옮김 / 까치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1. 책 제목보다 ‘패러다임’이란 단어로 더 유명한 ‘과학혁명의 구조’를 커서 다시금 읽게 되었다. 어릴때는 뭔 말인지 모르고 잘도 읽어내려가던 것이 이젠 ‘한 구절, 한 구절’ 눈길을 잡아 끈다. 나이가 들었고, 볼 수 없었던 세상의 다른 차원에서 알게된 어떤 지식이 그 문장을 사로잡고 있는 것 같다.


2. 이 책이 왜 고전의 반열에 올라갔는지는 내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의하긴에 지식의 한계와 언어의 무제한적인 감각 떄문에 뭐라 딱히 말하수 없지만, 최신 번역본을 권하고 싶다.




아마도 과학은 개별적인 발견과 발명의 축적에 의해서 발달되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와 동시에 바로 이들 학자들은 과거의 관찰과 믿음에서 온 "과학적인" 요소를 그들의 선대 과학자들이 주저하지 않고 "오류"와 "미신"이라고 못박았던 것들로부터 구별짓는 데에서 점차 곤경에 빠지고 있다. […] 과학사학자들은 자연에 대해서 그 당시를 풍미하던 견해들이 전반적으로 보면 오늘날 받아들이는 것보다 덜 과학적인 것도 아니요, 인간의 특이한 기질의 산물도 아님을 느끼게 된다. 시대에 뒤지는 이러한 믿음을 신화라고 부르기로 한다면, 신화는 현재에도 과학적 지식에 이르는 동일 유형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동일 유형의 이치에 의해서 생산될 수 있다.


[…] 등고선 지도를 보면서 학생은 종이 위에 그려진 선들을 보지만, 지도 제작자는 지형에 관한 그림을 본다. […] 그것은 환경 그리고 학생이 추구하도록 훈련받았던 특정 정상과학의 전통에 의해서 연합적으로 결정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