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104
유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박정희 논란으로 뜨겁다. 이 시집을 읽으면 제일 먼저 읽었던 시가 미란타 연작이다. 우선 통쾌했었는데...

오랜 위통처럼 만인을 괴롭히다 죽은 사람이 떡하니 나타나
아무런 미안타는 기색도 없이 미란타를 권하는 이 현실을,
이따금 재발하는 위염의 쓰린 기운처럼 곰곰이 씹어대고 있는데
문득 누군가 고리짝 철 지난 약 선전을 오늘에 되살리고 있었어

그래도 보릿고개 때 생긴 위장병을 잡은 분이 바로 그 분 아니오                                       
                                                 - 「미란타」 부분 

  그때로서도 뒷담에 가까웠다. 독재자는 필요악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플라톤식의 철인 독재가 아닌 이상) 난 아니다. 많은 사람도 그럴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시집은 많은 점수를 땄다고 할까? 이 시와 더불어 이 시집엔 좋은 시가 많았다. 1부와 2부 일부였다. 3부도 그렇다.
   나도 남들이 다 한 뒷담 한 마디 해야겠다. 유하 시인은 현실비판도 하고 있지만, 키치예찬을 하고 있었지않나... 하는 말들이 많았다. 
『천일마화』 라는 시집을 한번 읽고나서 그 생각을 더욱 굳히게 되었다. 이 시집에서는 이런 시의 예를 들겠다. 

해서, 세속도시의 즐거움에 동참하고 싶은 자들 압구정동의 좁은 문으로 들어가길 힘쓰는구나

투입구의 좁은 문으로 몸을 막 우겨넣는구나 글쟁이들과 관능적으로 쫙 빠진 무용수들과의 심리적 거리는, 인사동과 압구정동과의 실제 거리에 비례한다

걸어가면 만날 수 있다 오, 욕망과 유혹의 삼투압이여

                                - 「바람부는 날엔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2」 부분 

처음 읽을 때는 반어를 쓰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건 아닌 것 같았다. 점점 그 사회에 끌려들어가는 사람중의 하나로서, 받아들여야 할 이야기기도 하다. 현실 수긍. 우리가 사회에 살고 있지만 살아가지 않고 부정하는 방법이 있겠는가?

어느새 남자의 미래는 책임감과 무거운 중압감

하지만 햇살은 저 높은 곳에

각자의 이상을 위해 모두 바쁘네

자랑스런 나의 친구들아 나도 열심히 살아가고 있단다.

우린 일, 사랑, 사회가 이슈 하지만 인간적일 뿐인

실수는 모두 겪어야지 너무 재수없는

직장상사 얘기 별수없이 아저씨 되는게 뭐가 대수

                                 -조피디 [친구여] 일부

이 노래도 그런 사회 사람들이 이겨나가는 이야기다. 술을 먹는 이야기도 끼어있지만, 이런 사회를 이겨나가고 있는 수단으로서 쓰여지고 있기에 조금 낫다고 할까? 유하 시인의 이야기는 요즘 만평에 자주 등장하는 술먹고 이 시름 이겨보자꾸나...라는 식과 같은 맥락이라는 생각은 나만 드는 생각일까? 그것은 현실도피다. 현실 도피는 현실을 이겨나가는 방법으로서 적합하지 않다. 노력으로서의 변화가 옳은 선택임은 당연하다. 하나, 이루어질 수 없는 현실에 대한 좌절이 그런 사회를 자꾸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천일마화』 에서도 등장하듯, 그의 시가 자꾸 다루는 키치 이야기는 일부 고위층의 이야기로 경마나, 쾌락에 빠져 세상시름 잊어보고, 어느 때는 사랑에 빠져보고, 대박의 꿈에 불타오르고... 하는 식의 도피에 지나지 않는 듯 했다. 2부에 유난히 그런 시가 많았다. 표제이기도 하지만 거기서 점수를 까먹고 간다고나 할까? 하나대가 약간의 보완은 할 수 있었지만, 뭔가 모자란다는 느낌이다. 

 

허퉁하게 그 빈집을 떠나간다... 떠나간다... 떠나간다...는 것 때문에...

(요즘 자살 뭐시기 하는 것이 자꾸 연상된다.)

 

(이렇게 쓰고 나서도 후회가...남는다. 괜히 길기만 하고 스트라이크는 한번도 못친듯한 느낌. 내가 캐치 못한 무언가가 있기는 있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