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인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4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에야 책을 많이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그 시작점이 된 책이다.

처음부터 이 책은 예사롭지 않은 느낌을 주었다. 역시 노벨상 수상작이었던 '야만인을 기다리며'(쿳시)의 사색을 기대했던 탓인지 말이다. 점점 읽을 수록 스토리의 줄기가 그다지 잘 잡히지 않았다. 다만, 이 작품의 사색의 깊이는 기대 이상이었다. 시작부터 끝까지, 그냥 넘길 수 있는 페이지가 그다지 많지 않았다. 좋은 표현의 페이지를 살짝 접고 페이지를 넘어가자면, 책의 1.6~8배는 넓어졌을 것이다(이 책 자체를 그냥 접지 않고 둬도 될 정도였다). 그런데 곳곳의 의미가 잘 이해는 되지 않았다. 새로운 인생은 '사고'다. 그 안에서 새로운 인생을 어떻게 경험했는가에 대한 기록도 잘 보았다. 그러나 '자신의 경험'에 기반한 것이라서 실제와는 약간 차이를 느낄지도 모르겠다. 거의 중말반에 사랑에 대한 작가의 나름대로의 정의가 나오는데, 나는 그것에 별로 공감을 못느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소설은 어떻게 써야하는 가를 말해주는 듯 했다.

나의 독법을 말해보겠다. 한 문장의 주제를 찾는다. 그 주제에서 하나의 질문을 연상해본다. 거기에서 나온 주제를 뒷 문장과 접합해본다. 그것이 질문인지 아닌지 따져보고 그것에 대한 반응을 결정해 의미를 내놓는다. 그러면 질문과 대답, 대답의 질문, 이런 식으로 사색의 정도가 나온다. 이것은 사실상 시를 읽는 법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문학은 결국 경계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그러나 내가 시를 쓰는 사람이라 시의 독법이 쓰인 것인지 모르겠다. 김연수 님의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살짝 읽어본 칼비노의 '나무 위의 남작'도 그런 식으로 읽어보면 상당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느껴진다. '묘사'가 돋보이기 때문에 띄는 작품과 '캐치'를 잘 한 작품, '사색'이 도드라지는 작품. 이것은 자세히 읽어본다면 알 수 있다. '사색'을 잘했다면 '캐치'를 잘 해낸다. 그러나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은 '깊이'에서 떨어질 수도 있다. 이 작품의 묘사를 보노라면 '온다 리쿠'의 '흑과 다의 환상'과 같은 '색다르다' 라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다소 진부해보이는 표현들도 몇 군데 있다! 그러나 사색의 깊이로서 이 점을 커버하고 있다. 얼마나 노력하면 익숙한 표현도 용서되는 이런 작품을 쓸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