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신화
닐 게이먼 지음, 박선령 옮김 / 나무의철학 / 201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게 바로 신들이 훌륭한 보물을 손에 넣게 된 경위다. 전부 로키의 잘못으로 시작된 것이다. 토르의 망치조차 로키의 술수 덕분에 생겨났다. 그게 로키라는 인물의 특징이다. 그에게 가장 감사함을 느낄 때조차 마음 한구석에는 분노의 기운이 남아 있고, 그를 가장 미워할 때에도 어느 정도 고마운 마음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63)

오딘은 소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다가 자기가 꾼 꿈을 떠올리고는 이렇게 말했다. "이 아이는 가장 깊은 암흑의 땅을 다스리는 자가 되어 아홉 세상의 죽은 자들을 통치할 것이다. 가치 없는 죽음을 맞이한 불쌍한 영혼들, 즉 병에 걸리거나 늙거나 사고를 당하거나 아기를 낳다가 죽은 자들의 여왕이 될 것이다. 전투 중에 죽은 전사들은 항상 여기 발할라로 와서 우리와 함께하게 된다. 하지만 그 외의 다른 방식으로 죽은 이들은 그녀의 백성이 되어, 암흑 속에서 그녀의 시중을 들게 될 것이다."
헬이라는 소녀는 제 어미와 떨어진 이후 처음으로 미소를 지었는데, 물론 반쪽짜리 입으로 지은 미소였다. (93)

시는 어디에서 생겨나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우리가 평소 부르는 노래와 남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는 어디에서 온 걸까? 위대하고 현명하고 아름다운 꿈을 꾼 뒤 그 꿈을 시의 형태로 세상에 전해서, 해가 뜨고 지는 한,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한 계속해서 불리고 끝없이 회자되는 이유를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왜 어떤 사람들은 아름다운 노래와 시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어떤 사람들은 그러지 못하는지 궁금하게 여긴 적이 있는가? (1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