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충우돌 출판사 분투기 - 작지만 강한 출판사 미시마샤의 5년간의 성장기
미시마 쿠니히로 지음, 윤희연 옮김 / 갈라파고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기에 미시마샤의 책이 있는 것은 이 서점에 틀림없이 사람이 있어서야. 귀찮은 작업도 마다하지 않고 한 권의 책을 이해한 다음 그것을 판매대에 진열하기로 결심한 서점 직원이라는 한 사람이 거기에 있어. 그 한 사람의 존재가 미시마샤와 독자를 연결해주는 거야.‘ (100)

이 블로그 글을 쓰고 나서 곧 어떤 작가의 부인으로부터 메일을 받았다.
"참, 저번 블로그를 읽어보니까 회사에 쥐가 있다고.... 실은 이전에 살던 맨션에서 저희 집에서만 죄가 나온 적이 있어요. 집주인에게 이야기하니까 ‘쥐가 나오는 집은 번창한다‘고 하더라고요. 그러자 그 직후에 책이 팔렸어요! 그러니까 미시마샤도 앞으로 빅 히트작이 나와서 번창한다는 의미이므로 부디 그렇게 생각해주세요(웃음)." (145)

요새 인터넷 같이 정보를 찾는 기술이 발달했다고 해도 최고의 정보는 현지에서만 얻을 수 있다. 관광 가이드 책에 실린 가게는 태반이 관광객을 겨냥한 것이라서 그 가게가 반드시 현지 사람이 가는 가게라고 장담할 수 없다. 그러나 어느 곳이든 가격, 맛, 모든 면에서 현지 사람이 가는 가게는 이길 수 없다. 정말로 싸고 맛있는 것은 현지에 가야만 알 수 있다. ....
현지에 도착해서 곧바로 가장 좋은 가게, 가장 좋은 숙소를 찾을지 못 찾을지. 그것은 여행이 천국이 될지 지옥이 될지를 정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성패는 단지 여행하는 사람의 오감에 맡긴다. 합숙은 바로 그 오감을 연마하기 위해 하는 것이다. (152)

야행의 감각을 연마하기 위해 일상에서 실천하는 것을 조금만 서술해보겠다.
- 컴퓨터 끄는 시간
- 자리 바꾸기
- 기획회의 서류는 일부만 출력하기 (157)

그러니 컴퓨터의 은혜는 다분하다. 하지만 ‘야생의 감각‘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컴퓨터가 감각을 연마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오히려 실제로는 마이너스가 아닐까. 컴퓨터의 무서운 점은 그 앞에 앉아 키보드를 딸각딸각 누르는 것만으로도 일을 한 기분이 든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래가지고는 세계는 변하지 않는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이 세계를 바꾼다고들 하지만, 혹시 정말로 그렇다면 그것은 분명 ‘개인‘의 의미가 희석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컴퓨터로 쪼르르 달려가 무언가를 쓰고 무언가를 사기 위해 클릭하는 행위와, 위험을 무릅쓰고 신원을 드러내서 무언가를 움직이려 하는 행위는 무게가 다르다. 적어도 1대1로 얼굴을 맞대고 나서 자신의 의견을 설명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귀 기울여 들은 뒤, 공감하는 관계를 쌓을지 결정하는 것은 살아 있는 사람이라면 겪을 감각의 순서일 것이다. 이것은 컴퓨터로는 절대 몸에 익힐 수 없는 감각이다. (158)

"일단은 100년은 가기 위해"라는 관점에서
온갖 것을 발상해내는 것에 전념하자고.
몇 년만 버티려는 방식은 취하지 않는다.
일단 100년은 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몇 년 후는 목표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통과점이다.
그렇게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164)

‘타깃 독자: 10대 후반 여자.‘
싸잡아서 10대 후반의 여자아이들이 다뤄진다. 한 사람 한 사람 다른 얼굴을 하고 한 사람 한 사람 생각하는 것도 전혀 다를 터인 다감한 여자아이들이 뒤범벅된다. 나는 이만큼 폭력적인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거기에 고유한 삶을 가진 개인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50대 여성처럼 타깃 대상 외의 인간은 모두 배제한다. (184)

하지만 진실은 그렇게 단순하게 딱 잘라 나누어지지 않는다. 지금 50대 여성은 당연히 과거에 10대 여성이었다. 10대와 50대가 분단되어 그 사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10대가 있었기에 지금이 있다. 지금이 있다는 것은 지금까지 지내온 시간이 축적된 것과 다름없으며, 모든 것은 연속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 순간만을 잘라내어 마치 ‘최적의 답‘인 양 결과만을 주는 것은 독자를 과거와도 미래와도 분리된 존재로 취급하는 것이다. (184)

타깃을 설정하지 않는다. 인간을 믿는다.

거기에 있는 것은 오로지 한 권에 혼을 담는 정신뿐이다. (186)

한 사람이 가진 감각을 믿고 "이 책의 재미를 알아주세요." "이 책의 분위기가 가진 장점을 알아주세요"라며 한 권의 책을 서점으로 보낸다. 그 한 권을 서점 앞에 늘어놓는다. 그리고 이따금 지나가던 손님이 전혀 알지 못하는 출판사의 전혀 알지 못하는 책 한 권을 우연히 손에 든다. 그리고 무언가를 느낀다. "아, 이 책은 나를 위한 거야......." 이런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이런 기적 같은 만남이 매일, 전국에서 일어나고 있다. (202)

그렇다. 즉 감각이 작용하는 범위가 늘어난 것이다. 오해를 사고 싶지 않지만, 오래 있었기 때문에 감각의 범위가 넓어진 것은 아니다. 물론 어느 정도는 그저 있는 것만으로도 몸에 익거나 감각이 연마되기도 한다. 하지만 막연하게 수동적으로 거기에 있기만 해서는 그 땅이 내 몸의 일부가 될 정도로 감각이 연마되지 않는다. 그 땅과 그곳에서 보내는 나날을 사랑하고, 그 사랑에 기반한 형태로 능동적으로 행동하여, 불필요하다면 불필요한 움직임마저도 행동에 옮김으로써, 감각이 연마되고 땅이 내 몸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 말하자면 자유란 자신의 감각이 제기능을 잘 발휘하는 상태라 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감각이 작용하는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사람은 자유로울 수 있다. (215)

예를 들어 2011년 4월부터는 교토부 조요시에도 사무실을 마련했다. ...... 대충 비교해보자.
자유가오카 사무실: 정원이 감나무 있음. 도보로 약 5분 거리에 어린이 공원 있음.
조요 사무실: 옆에 차밭 있음(여름에는 분뇨 냄새 추가). 걸어서 1분 안 되는 곳에 커다란 고분 있음(어째서인지 부지 내에는 농구공과 밭 있음. 여름에는 펜스를 따라 파가 자란다. 자연 현상인지 아닌지는 불명). (2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