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표 영어 17년 보고서 - 영어 앞에서 당당한 아이를 만드는 새벽달의
새벽달 지음 / 청림Life / 2016년 11월
평점 :
품절


내 아이 영어, 어떻게 끌어줄 수 있을까? 영어 잘하는 엄마와 아이의 노력을, 그들의 피와 땀을 겸허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시작할 수 있다. 찰스 다윈과 멘델스존이 시대에 큰 업적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부유한 부모를 만나서가 아니라 자신의 꿈을 위해 평생 동안 집요하고 고독하게 관찰하고 연구했기 때문이다. 이 사실을 기억하자. 그들은 했고 나는 안 했음을 쿨하게 인정하자. (23)

모성애란 생득적인 것일까? 아니면 의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일까? 모성애란 만들어지는 것이다. 쉼 없는 소통에 의해서. 사랑이 그러하듯. 아기에게 중얼중얼 말 걸고, 단둘이 눈빛과 숨소리로 대화를 나누면서 나는 아기와 사랑에 빠졌다. 어머, 난 네 엄마야. 넌 나의 사랑스런 아기야. 모성애는 본능이 아니라 이렇게 하루하루 쌓이고 깊어지는 감정이로구나. (31)

종교가 없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글쓰기‘이다. 그 어떤 고민도, 힘듦도, 죽을 것 같은 외로움도, 슬픔도 글로 옮기면 ‘객관화‘된다. 무거운 짐을 지고 있는 나와 대면하게 된다. 마음의 짐을 객관화시키면 더 이상 힘들지 않다. 신께 털어놓아 자유로워지는 신앙인처럼, 글을 쓰면 마음이 가벼워진다.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는다. 결론은 육아 일기를 쓰라는 소리? 육아 일기는 정말 모든 엄마들에게 강력 추천하고 싶다. 아이에 대한 사랑은 커지고 육아의 짐은 가벼워진다. (75)

아이에게 초점을 맞추라는 아이의 말과 행동에 더 민감해지라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모든 정답이 아이에게 있음‘을 겸허히 받아들여, 비전문가인 옆집 아줌마한테 묻는 게 아니라 내 아이에게 물어보는 것이다. 아이와 친구, 선생님, 수업, 학교생활, 학원생활 등에 대해 가능한 자주 대화를 나누어야 한다. 그래야 아이도 엄마에게 자기의 상황을 말로 설명하면서 자기 자신을, 친구를, 선생님을, 수업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판단하고 구체화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엄마 역시 아이의 상황과 마음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76)

그리고 아이가 잠든 새벽이나 아침에 영어 그림책을 필사 노트에 베껴 적었다. 필사한 문장들을 낭독하면서 녹음했고 녹음한 파일을 출퇴근 지하철 안에서 듣고 또 들었다. 이렇게 연습하고 밤에는 다시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다 보니 몇몇 그림책은 원어민 뺨치게, 아니 더 능숙하게 읽게 되었다. 유창하게 읽을 수 있는, 혹은 아예 문장을 통째로 외워버린 그림책이 10권, 50권, 100권 점점 쌓여갔다. (89)

늦은 나이에 미국 유학생활 하면서 다양한 한국인 이민자를 만나게 되었는데 그때 느꼈다. 아, 한국에서의 삶이 우울하고 불행했던 사람은 미국으로 도망쳐 온다고 해도 그 우울함, 불행함이 쉽게 사라지 않는구나. 한국에서의 삶이 넘치게 행복했던 사람이라면 그 어느 나라를 가나 그렇게 생기 넘치고 행복하다. 직장생활이 짜릿하고 즐거웠던 엄마라면 퇴사하고 전업해도 짜릿한 육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환경이 문제가 아니라 ‘나 자신‘이 문제다. 내가 어떤 마음가짐으로 오늘을, 이 순간을 살아내느냐에 해결책이 있다. (124)

"나중에서야 깨달았습니다.
무언가 확신하고 있을 때가 가장 불안한 상태인 것을,
자신이 옳다고 느낄 때가 가장 위험할 때임을." (2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