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와 지평 구조 현대의 문학 이론 39
미셸 콜로 지음, 정선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텍스트를 하나의 완전히 자립된 세계로 간주하고자 했던 언어논리학이 지배하던 시대 이후, 시어...의 구조들을 체험된 경험 구조들에 의거하여 밝힐 수 있음을 보이는 일이 절실하다. (10)

지평은 풍경을 일관성 있는 총체로서 조직하는 동시에, 무수히 가능한 조직에 열려 있게 한다. 지평은 구조화뿐 아니라 개방 원칙의 본질을 이루기도 한다. 상반하는 듯 보이지만 상호 보완할 수도 있을 이 두 기능을 결합한다는 점이 ‘지평 구조‘라는 후설의 개념이 지닌 가장 뛰어난 장점이라고 본다. (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