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 천연균과 마르크스에서 찾은 진정한 삶의 가치와 노동의 의미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가게의 경영이념은 이윤을 남기지 않기다. (6)

언젠가는 지금 있는 세계의 밖으로 나가 작아도 진짜인 일을 하고 싶었다. 스스로 옳다고 여기는 일을 하고, 그것을 생활의 양식으로 삼아 살고 싶었다. 그런데 나는 밖으로 나가는 출구를 몰랐다. 그래서 때려치우고 싶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21)

이 세계에, 과연 시스템의 바깥이라는 것이 존재할 수 있는 걸까? (34)

음식은 싸면 쌀수록 좋다는 풍조가 있지만 마르크스의 말대로라면 크게 잘못된 생각이다.
일(노동력)을 값싸게 만들기 위해 음식(상품) 값을 내린다는 것이 마르크스가 밝혀낸 자본주의의 구조다. (69)

`균도 산 생명이고, 나도 목숨이 붙은 생명이다. 생명에 위험한지 여부는 먹어보면 알겠지. 몇 백 년 전 옛날 사람들도 자신의 감각을 믿고 직접 먹어서 확인했음에 틀림없다. 그래, 도전할 수밖에 없어. 게다가 공방 직원은 나 혼자야. 현미경이고 뭐고 제 몸 하나로 구분했을 옛날 사람이 된 셈 치자.` (118)

아버지의 지인 댁에 초대받았을 때는 정원에서 기르던 토끼와 닭을 직접 잡아 조리한 음식을 먹을 기회도 있었고, 사냥해온 영양고기를 대접받은 일도 있었다. 야산을 돌아다니던 영양고기는 씹을 때마다 생명의 힘이 입안에 퍼지는 느낌이 들었다. 음식은 생명이라는 너무나도 간단한 사실을 나는 그때 처음 깨달았다. (164)

언데는 돈을 `사람들이 생활에서 사용하는 교환을 위한 돈=빵집에서 쓰는 돈`과 `자본이 사업을 통해 불리려 하는 돈=자본으로서의 돈`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전혀 다른 이 두 종류의 돈에 동일한 `법정통화`(엔, 달러 등)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경제와 삶이 혼란을 일으킨다고 지적하며, 그렇다면 이 두 종류의 돈을 나누면 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빵집에서 쓰는 돈으로는 도시를 목적으로 한 특정 지역에서만 쓸 수 있는 돈, `지역통화`를 쓰자고 제안했다. 바로 이 지역통화라는 조금 특이한 돈의 가능성에 당시의 나는 완전히 빠져들었다. (177)

그래서 둘째 히카루는 집에서 낳았다. 8개월쯤 되었을 때 기저귀 안 쓰는 육아법을 알게 되었다. 아이를 안고 있다가 조금이라도 응가를 할 기미가 보이면 마당으로 데리고 가 변을 보게 했다. 그랬더니, 전에는 항상 설사 기가 있어서 자주 기저귀를 갈던 아이의 변이 거짓말처럼 좋아졌다. 기저귀 안 쓰는 육아법을 몰랐다면 지진 때문에 기저귀 구하기가 힘들었던 시기에 더 크게 당황했을 것이다. 아이들의 생리에 맞춘 육아법은 결과적으로 자연에도 좋고 비상시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204)

저희들이 눈을 떴을 때 아빠는 이미 일터에서 굵은 땀을 흘리고 있고, 집안에는 온통 향긋한 빵 굽는 냄새가 퍼졌다는 것, 손님들로 가계가 북적이면 엄마와 아빠는 힘들어하면서도 무척 기뻐했다는 것, 녹초가 될 때까지 일한 뒤에는 `한 잔의 술`과 함께 이 세상 최고의 행복을 나눴다는 것....... 부모가 열심히 일하며 사는 모습을 기억 속에 깊이 새겨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226)

매일 돈을 쓰는 법을 바꿔보는 것도 경제를 부패하게 하는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부패하지 않는 돈도 쓰기에 따라서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 돈에는 미래를 선택하는 투표권으로서의 힘이 있다. 몇 년에 한 번 있는 선거의 한 표보다 매일 쓰는 돈이 현실을 움직이는 데 강력한 힘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믿을 수 있는 물건을 만들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에게 정당하게 비싼 값을 지불하는 것이다. 이윤을 남기려는 사람들이 아니라 환경을 조성하고 흙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돈을 쓰는 방법이다.
돈을 쓰는 방식이야말로 사회를 만든다. (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