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이 울다
거수이핑 지음, 김남희 옮김 / 잔(도서출판)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야의 파열음과 벙어리의 외침이 이어졌다. 외침 속에서 말을 잃게 된 그때를 애써 떠올렸다. 심장까지 닿아 있는 그녀의 비애를 아는 이는 아무도 없었다. 그녀의 외침이 검은 밤하늘을 찢어 놓았다. 길을 잃은 달이 흔들리다 구름 속으로 떨어졌다. 타이항산 대협곡을 타고 울리는 처연한 외침에 산속의 초목이 몸을 떨었다. 급기야 대야에 구멍이 뚫리고 더는 소리가 나지 않았다. 뒤이어 사위가 고요해졌다. (69)

벙어리는 몸을 돌려 천천히 산을 내려왔다. 집으로 돌아와 문을 걸어 잠그고 나서야 안정을 되찾았다. 마음이 가라앉는다는 게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바로 행복이었다. 마음 저 깊은 곳에서 샘솟는 행복감이 가슴을 채웠다. (69)

갑자기 스스로 가증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때 그 일은 그녀의 욕망 때문에 일어난 것이기도 했다. 욕망이 없었다면 리만탕을 돕지 않았을 것이다. 바로 그 욕망이 잘 살아가던 일상을 뒤흔들어 어디로 가는지조차 알 수 없게 만들어 놓았다. (160)

"이 학교는 이름이 뭐라니?"
"리만탕소학교요."
롼친은 얼떨떨한 기분으로 한참을 서 있었다.
"그래, 이 넓은 하늘 아래 없어져 버린 사람. 이제 두번 다시 구두이핑을 떠나는 일은 없겠구먼." (185)

그녀가 울부짖는 사이, 엄마는 채찍을 당겨 간신히 늪을 빠져나왔다. 이때부터 그녀의 생명 속에 무언가가 쐐기처럼 박힌 것 같았다. 그게 무엇인지 그녀는 알지 못했다. 그런데 이제야 알 것 같았다. 바로 채찍이었다. 그녀에게 채찍 소리는 계시였다. 과연 왕인란의 생명에 봄이 올까? (210)

"오래 기다렸어. 지금부터 하는 것도 널 위해서야."
왕인란은 칼을 쥔 손에 힘을 주었다. 톄하이의 몸에서 빈자리가 느껴진 순간, 그 자리로 칼을 찔러 넣었다. 푸욱 소리와 함께 그의 몸에서 망설임과 실망이 배어 나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의 몸이 부르르 떨렸다. 몸의 떨림과 함께 왕인란의 마음도 전율했다. 왕인란은 그의 그림자를 피해 걸음을 옮겼다. 유채꽃밭이 보였다. 조그마한 꽃봉오리가 맺히더나 여기저기 꽃을 피우고 이내 만개한 꽃이 밭을 가득 채웠다. (283)

어느새 한겨울 시커먼 하늘 아래 겨우 남아 있던 초록빛이 점차 생기를 띠었다. 그윽하고 우아한, 조금은 약 냄새와도 비슷한 은은한 향기가 그녀의 주변을 채웠다. 그녀가 바라던 진정한 봄이 왔다. 봄의 아름다움은 도저히 어찌할 수가 없었다. 채찍을 휘두르며 춤추는 남자의 모습이 보였다. 그녀를 부르고 있었다. 넌 나에게 묶여 있는 거야. 이리 와, 이리로. (283)

야오량은 차에서 뛰어내렸다. 이곳에 서 있는 자신이 자신 같지 않았다. 그는 팔을 제멋대로 휘둘렀다. 마구 날뛰는 짐승 같았다. 얼굴이 온통 벌개졌다. 살갗이 찢기는 아픔을 어떻게 표현할 길이 없었다. 도대체 쑤홍은 뭘 하고 살았던 걸까? 씨앗 하나가 마음속에 묻혀 있는 것 같았다. 그것을 잊어버리고 싶지만, 싹을 틔우게 하고 싶지 않지만, 파내기엔 너무 깊이 묻혀 버렸다. 어둠 따위! 어두워지기 전에는 집에 돌아가지 않기로 결심했다. 쑤홍에게 어둠을 보내 줄 생각이었다. (313)

쑤홍은 얼굴을 빠끔히 내밀고 코를 고는 야오량을 바라보았다. 이 집에서 이만큼 노력을 쏟아 붓고 고생했으면 됐지. 비누 한 쪽 없이 가난한 집에 시집와서 바퀴 넷 달린 용달차를 몰 정도가 되었는데, 그게 어디 쉬운 일이냐고. 서러움이 밀려왔다. ... 쑤홍은 야오량의 얼굴을 쓰다듬어 보고 싶었다. 하지만 곧 손을 움츠렸다. 그녀는 복잡한 여자였다. 한 때는 이런 복잡함에서 벗어나 조금은 단순해지고 싶었다. 하지만 현실은 경쟁이라도 하듯 힘겹기만 했다. 단순이고 뭐고 가난만 남아 있을 뿐이었다. (322)

그는 걷기 시작했다. 이렇게 계속 걷다가 쑤홍의 마음속까지 걸어 들어갈 수 있기를 바랐다. 쑤홍에게 희망을 주고 싶었다. 쑤홍이 평생 즐거운 환상 속에서 살 수 있기를 바랐다. 그러면 쑤홍은 잘 살아갈 것이다. (3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