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명
임레 케르테스 지음, 박종대, 모명숙 옮김 / 다른우리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소년은 자랐다. 1년 동안 자신이 원해서 얻은 고통이 아닌, 어떤 운명적인 시련을 통해 소년은 정신적으로 성장한 것이다. “운명”이라는 말의 뜻은 무엇일까? 운명이란 불가항력적으로 인간에게 주어진 어떠한 삶, 만남을 의미한다. 하지만 여기서 더 생각해봐야 할 것은 “운명에 순종하다”라는 말과 “운명은 내 손안에 있다.”라는 말의 차이이다. 이 책의 소년 그리고 작가는 후자의 말에 동의한다. 소년은 시련을 극복해냄으로써 운명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피아니스트”라는 책과 마찬가지로 유태인들의 수용소에서 고통을 써내려가고 있다. (피아니스트는 수용소가 아니라 이리저리 피하고 숨으면서 생활한데 더 가깝다.) 하지만 다른 책들과 매우 다른 점은 담담한 말투와 냉소적인 시선에 있다. 열다섯 살이라고 믿겨지지 않을 정도로 성숙한 말투다. 그렇다고 체념한 말투는 아니다. 있는 그대로를 받아드리고 이겨내려는 힘에서 나온 말투다.
이 작품을 다 읽었을 때 난 별 4개를 5개로 고쳤다.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을 사실적으로, 감정에 호소 없이 표현했다는 점이 나에게는 다소 지루하게도 느껴졌기 때문에 별 4개를 주려고 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 소년이 집으로 돌아와서 성숙한 모습으로 운명에 대해 성찰하는 부분에서 별 한 개가 더 추가 되었다. 뒷부분은 철학적이기까지 하다.
우리가 지금까지 봐 왔던 시각과는 다른 시각으로 과거를 돌이켜 보고 있다. 소년은 자신이 겪었던 시련 속에서 “행복”이라는 것을 끄집어내고 있는 것이다. 즉, 소년의 생각은 이렇게 끔찍했던 시간 속에서도 행복을 찾아낼 수 있었으니, 지금부터 소년에게 주어지는 시간은 모두 자기 의지적이고, 행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말은 소년의 삶에 대한 시각을 확실하게 표현해준다 “어떠한 문제든 모두 내 인생에 답이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