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스터 메르세데스 ㅣ 빌 호지스 3부작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7월
평점 :

어렵지만 소름 끼치도록 흥미로웠던 메르세데스
사실 외국소설은 잘 읽히지 않고 감정선이나 코드가 맞지 않아 읽기를 꺼려했다. 그러한 이유로 스티븐 킹이라는 대단한 작가를 알지 못했고, 엄청난 화제였던 그의 전작 또한 알지 못했다. 사실 서평단에 뽑힐 거라는 생각도 못해 책을 받고 놀랄 수밖에 없었다. 생각보다 두툼한 분량에 빼곡한 글자들. 과연 끝까지 읽을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섰다. 마침 읽던 책을 다 읽고 난 후라 <미스터 메르세데스>를 설레는 마음으로 읽을 수 있었다.
메르세데스는 벤츠의 자동차 이름이었다. 취업 박람회를 기다리던 사람들을 무참히도 깔아뭉갠 그것의 이름인 셈이다. 그 무참한 고철덩어리 속에 피에로 가면을 쓴 자를 본문에서는 ‘미스터 메르세데스’라 불렀다. 보통 추리소설의 루트를 보면 범인은 후미에 밝혀지거나 시작부터 타깃으로 설정해 풀어나가는데, 이 작품을 달랐다. 범인의 시점과 그를 쫓는 자들의 시점이 번갈아가며 서술되고 있다. 그게 이 작품의 첫 번째 포인트라고 생각한다.
범인은 재범을 저지르지 않겠다고 은퇴한 - 미스터 메르세데스의 담당이었던 - 형사에게 편지를 보내면서부터 이야기가 흥미롭게 펼쳐졌다. 우려했던 대로 무슨 말인지 알아들을 수 없어 졸면서 봤던 부분도 있고, 웃음 포인트 같은데 같이 웃을 수 없어서 약간의 괴로움은 있었다. 하지만 세심하면서도 섬세한 문장과 스릴 있게 매치되는 대사들이 정신없게 읽도록 만들기도 했다. 이것이 두 번째 포인트!
저자는 다양한 사회의 모습들을 담아내기 위해 무던히도 애쓴 것 같다. 덕분에 모르던 다른 나라의 다양한 모습들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게 됐다.
저자의 전작 중, <캐리>라는 작품이 영화화된 것을 알고 최근에 봤다. 이 작품과는 조금 다른 이야기였지만 상처 받은 영혼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질감을 느낄 수 있었다. 저자의 글에는 불운한 캐릭터들이 등장하고 그 인물들이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 핵심 원동력으로 작용된다. 이것이 세 번째 포인트라고 볼 수 있겠다.
어렵다고 생각했고 어려웠지만 어려움 속에서 찾은 재미가 더 컸기 때문에 끝까지 놓지 않았던 것 같다. 인물들의 연결고리에 반전도 숨어 있고, 생각하지 못했던 것들이 튀어나와 혹자의 소감처럼 미드 수사 시리즈를 몰아 본 것과 같은 즐거움이 자리했다.
탐정소설을 좋아하고 미스터리나 추리물을 즐기는 사람에게는 감히 강력 추천하겠다. 녹을 것 같은 이 여름, 척추를 타고 흐르는 소름으로 더위 타파하는 건 어떨까.
*황금가지(민음사)에서 도서 무료 제공받아 작성하는 서평입니다. 진심을 담은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