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든버러
알렉산더 지 지음, 서민아 옮김 / 필로소픽 / 2020년 4월
평점 :

고통 속에서도 여우는 살아가기 위해 몸부림친다. 사랑을 잃어도, 자신조차 불타올라도, 그 불길에 다른 무언가가 태워진대도 사랑으로 다시 살아진다.
⠀
앨런 홀링허스트의 《아름다움의 선》이 《에든버러》 읽는 내내 생각났다(아피아스 제에게서 닉 게스트의 모습이 보였기 때문). 정식 출간도서 중 성소수자를 다룬 작품은 손에 꼽을 정도다. 아직은 퀴어, 동성애 하면 불편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들이 더 많은 세상이라 그런지 모르겠지만. 재작년 퀴어 작품 읽었을 때도, 올해 읽었을 때도 역시 입안에 남는 쓴맛이 강하다. 다독여 주고 싶은 마음으로 읽었다. 안아 주고 싶은 영혼이 많았다.
⠀
특히 ‘아피아스 제(피)’의 인생은 결코 순탄치 않다. 어릴 때부터 그 삶에 파랑이 끊이지 않는다. 사랑하는데도 도망가야 했다. 감추고 숨기고 무섭고 두려워 울었다. 안쓰럽고 안타까웠다. 그저 사랑했을 뿐인데. 그저 사랑했던 건데 감당해야 될 슬픔과 절망이 파도처럼 거셌다.
⠀
사랑은 우리 안의 모든 가혹한 감정을 진정시킨다. 그 사랑이 이루어지는 만큼 더욱더. 사랑은 나를 부드럽게 어루만졌다. 피터, 오직 너만이 그럴 수 있었지. -88쪽
⠀
빛조차도 감히 널 사랑할 수 없어. -93쪽
⠀
피터. 끝까지 피에게 전부였던 존재. 불꽃이 되어 피의 가슴에 새겨진 유일한 사람. ‘피’라는 이름을 새겨 준 사람. 한 번의 인생에서 이런 사랑을 만났으니 피는 행복했을까. 마지막까지 도망가야 했던 모습이 잊히지 않는다.
⠀
사랑은 우리를 살고 싶게 만들어야 하는 거잖아요. -243쪽
⠀
사랑은 우리를 살고 싶게 만들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어떠한 선택을 할지는 스스로 결정할 수밖에 없다. 이 작품은 어렵다. 절대 쉽게 읽히지도, 쉽게 이해되지도 않는다. 가독성의 문제가 아니라 가슴의 문제다. 얼마만큼 품을 수 있는가에 달렸다.
⠀
많은 시간이 필요한 작품이다. 계속 들여다보고 곱씹고 받아들이려 할수록 어려워진다. 앞으로 나가기 힘들어도 계속 내딛다 보면 끝에 다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이야기는 완성되지 않은 채 끝을 맺는다. 아직은 아니다. 피의 인생은 ‘안녕’에서 다시 시작될 테니까. 그 시작에 함께 있을 수 있어 특별한 시간이었다.
⠀
묵직한 여운을 감당할 수 있다면 손대주길. 자칫하면 불꽃이 당신 손끝으로 번질 수 있으니.
⠀
이 이야기는 여우에 관한 이야기다. 여우가 어떻게 소년이 될 수 있는지에 관한, 그리고 불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9쪽
* 필로소픽에서 도서 증정받아 작성하는 서평입니다. 진심을 담은 생각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