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세 번째 배심원 ㅣ 스토리콜렉터 72
스티브 캐버나 지음, 서효령 옮김 / 북로드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이토록 사악한 진실
작품 소개부터 시선이 떨어지지 않았다. 어지간한 미스터리 스릴러 소재는 전부 접해 봤다고 생각했는데 큰 자만이었다. 사건의 진범이 배심원으로 등장하는 법정 스릴러는 처음이었다. 게다가 이렇게까지 대놓고 잔인하면서 일말의 양심조차 없는 사이코패스는 어디서도 본 적이 없었다.
조슈아 케인. 그는 프롤로그 등장부터 사람을 죽였다. 그것도 새삼 치밀하고 깔끔하게 아무 일도 아니라는 듯 단숨에. 엘턴이라는 법원 우편배달부를 살해하고 그가 얻은 건 하단에 빨간 띠가 둘러져 있고 그 위에는 흰 글씨로 ‘즉시 개봉할 것. 중요 법원 소환장 재중.’이라고 인쇄된 우편물들이었다. 6, 70통의 그런 봉투를 다섯 장씩 놓고 카메라에 담아 그들의 개인 정보를 알아낸 그는 완벽하게 그들 중 한 명이 된다. 상상도 못할 방법으로 한 사람의 흔적을 없애고 그 사람이 된다. 그 방법에 소름이 돋고 경악할 수밖에 없었다. 이토록 잔악하고 악마 같은 인간은 없었다. 그러나 그는 아무렇지도 않게 모든 일에 임했다. 심지어 고통이나 인정 같은 것도 연기를 할 정도였다. 태어날 때부터 그렇게 태어난 자였다.
케인을 대적할 상대로 에디 플린이라는 변호사가 등장하자 극의 흥미로움은 배가 되어 더 눈을 뗄 수 없게 만들었다. 전직 사기꾼이었던 그는 판사인 해리 포드의 도움으로 변호사가 될 수 있었다. 아내 크리스틴과 열두 살의 딸, 에이미를 위해 안정적인 수입을 원했다. 그는 의뢰인에게서 거짓과 진실을 구분할 줄 아는 신념 있는 변호사였다. 스타들의 공식 소송자인 변호사, 루디 카프의 ‘제안’을 처음엔 단칼에 거절했다가 그 제안의 주인공인 배우, 로버트 솔로몬의 자료를 보고 그를 도와야 한다고 확신하게 된다.
바비가 진범이 아닌 증거들이 하나둘 발견되면서 사건의 끝에 연쇄살인범이 연루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진실에 다가갔을 때는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에디 플린이라면 억울한 자의 누명을 벗기고, 진범을 찾아낼 거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이런 캐릭터의 활약은 독자들이 매우 좋아할 만한 부분이다. 마쓰모토 세이초의 《모래그릇》에서도 ‘이마니시 에이타로’라는 형사가 그런 역할을 맡아 줬다. 작품 흐름의 중심에 있으면서도 진범을 밝혀내려는 강한 의지와 신념이 소란하지 않게 이어진다. 그런 면에서 에디 플린과 아마니시 에이타로는 비슷한 부분이 많았다. 다른 매력이 있다면, 화자가 진범과 그를 좇는 자, 두 시점이 번갈아 가며 나온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더 생동감 있게 현장을 느낄 수 있고, 서둘러 결말에 도달하고 싶었다.
모래그릇의 경우는 범인을 모른 채 그에 도달하는 과정이라 약간의 답답함이 있었다면, 열세 번째 배심원의 경우는 범인은 이미 알고 있는데 어떤 방법으로 사건을 은폐했으며 어떻게 수면 위로 드러나는지를 밝혀 가는 과정을 그렸다는 데서 후련하다고 해야 하나. 엉켰던 실타래의 매듭이 풀리는 것처럼 속 시원함을 느낄 수 있었다.
법정 용어에 대해 몰라 찾아가며 읽어야 했는데, 그 부분도 즐거웠다. 새로운 지식을 얻는 재미가 쏠쏠했다. 가제본의 특권을 누릴 수 있게 해 준 북로드에게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 북로드라는 출판사를 몰랐다면 얻을 수 없는 특권이었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현재도 확약하고 있는 인권 변호사라는 점 또한 이 작품을 읽고 싶게 만든 하나의 요소로 작용했다. 경험보다 확실한 전달은 없다. 저자의 다음 작품이 기다려진다. 이제 어지간한 미스터리 스릴러가 좀 식상하다 여겨진다면 이 작품을 권하고 싶다. 법에 대해 무지하다 해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단, 악마에게 너무 매료되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북로드에서 가제본 지원 받아 작성하는 서평입니다. 주관적이고 솔직한 생각만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