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프라핏 - 사회를 변화시키며 수익을 내는 비즈니스 모델
신현암.이방실 지음 / 흐름출판 / 2017년 12월
평점 :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면서도 사회문제를 해결한다면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건 많은 사람들이 알고 계실 거예요. 이 사실에 관심을 조금이라도 가진 분이라면 그래서 그게 어떻게 가능한 건지 이 책을 눈여겨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빅프라핏>은 단순히 이익을 많이 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사회에도 기여함으로써 사람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고
있는 기업들의 전략과 사례를 국내에 알리려는 책임감을 가지고 쓰인 책입니다.
저자는 돈을 버는 것 외에 그 이상의 일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요. 국내에도 이 책이 널리 퍼져 우리 사회가 기술발전뿐 아니라 사랑와 감동으로 넘쳐
따뜻해지면 좋겠습니다.
화려한 표지에 큼지막한 제목을 보고 ‘어, 좀 재미없어
보이는데. 완전 어려운 내용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문을 읽을 때까지도 경제경영 이야기라니 지레 겁부터 먹었지요. 제가 이런 분야에
유난히 멍해지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실상 내용엔 어려운 전문용어라든지 머릿속이 꼬이는 그래프같은 것들은 나오지 않았어요. 이 책에서 강조하는
‘진정한 고수(기업)’, ‘한 차원 높은 기업’들의 이야기가 가득합니다. 무조건 성공 사례만을 읊는 것은 아니었어요. 실패를 했더라도 무엇을
얻었는지를 말해줍니다.
진정한 고수는 고객, 종업원은 물론 그 기업이 속해
있는 사회에도 기여한다. 이들은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기업도 사회를 떠나 살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사회구성원들에게
경외심을 갖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한다. 여기서 의문이 들 수 있다. 고객 만족은 분명 이익을 창출한다. 종업원 만족도 궁극적으로
이익과 연결된다. 그런데 사회에 기여하는 것은 돈 쓰는 것 아닌가? 좋은 명성은 얻을 수 있겠지만 그것이 과연 이익과 직결될까? 만약 이익과
연결된다면 왜 그렇게 행동하는 기업이 눈에 띄지 않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장기적인 안정성 확보와 새로운 사업기회 발굴이 가능하다. 기존에 없었던 비즈니스 모델도 만들어진다. 이런 사례가 눈에 안 띄는 것은
우리나라 기업의 안목이 아직 넓지 않기 때문이다.
시공간을 확장해보면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세계가 열린다.
(p.32)
다양한 사례들은 생각보다 흥미로웠습니다. 때론
감동적이기까지 했어요. 이 책에 실린 소중하고 감동적인 이야기들을 우리나라 기업들이 꼭 알아주었으면 합니다. 기업을 위해서, 우리 사회를
위해서, 나아가 전 세계를 위해서요.
캘리그라피로 보는 책속 이야기




#그린캘리그라피 Grin Calligraphy
카카오톡ID [ grin ]
http://blog.naver.com/lovethey102
www.facebook.com/seedglyph
www.instagram.com/grin.zip
http://naver.me/FoMS80R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