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결이 바람 될 때 -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순간
폴 칼라니티 지음, 이종인 옮김 / 흐름출판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욕타임스 12주 연속 1위, 2016년 상반기 최고의 화제작인 「숨결이 바람 될 때」는 세계를 감동시킨 서른여섯 젊은 의사의 마지막 기록입니다. 신경외과의로서 유능하고 앞날이 창창했던 그는 레지던트 생활이 거의 끝나갈 쯤 폐암 판정을 받고, 2015년 3월 9일 월요일 숨을 거두었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그냥 드라마나 영화같다, 안타깝다라고 가볍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는 그가 의사였기에 보다 의연하게 죽음에 직면한 것 아니냐 생각할 수도 있고요. 그러나 그의 이야기가 대단하게 느껴지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가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랐습니다. 저자는 의사이기도 하면서 환자였기에 두 가지 관점으로 죽음을 바라보았고, 분석하고 씨름하며 받아들였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죽음을 이해하고 언젠가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을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도록 돕고 싶어 했다. 삼십 대에 죽는 건 이제 드문 일이지만, 죽음 그 자체는 드문 일이 아니다. "폐암에 대한 중요한 사실은 그게 결코 특별한 일이 아니라는 거야." 폴은 제일 친한 친구인 로빈에게 보내는 이메일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냥 충분히 비극적이고,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 일이지. 독자들은 잠깐 내입장이 되어보고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거야. '그런 처지가 되면 이런 기분이구나……. 조만간 나도 저런 입장이 되겠지.' 내 목표는 바로 그 정도라고 생각해. 죽음을 선정적으로 그리려는 것도 아니고, 할 수 있을 때 인생을 즐기라고 훈계하려는 것도 아니야. 그저 우리가 걸어가는 이 길 앞에 무엇이 있는지 보여주고 싶을 뿐이지."  물론 폴은 그저 죽음을 묘사하는데 그치지 않았다. 죽음을 용감하게 헤쳐 나갔다. - 루시 칼라니티의 글 중에서

 

 

 

보통 사람이라면 큰 병을 선고받으면 좌절하여 인생을 포기하기에 다다를 것입니다. 저자는 죽음과 마주한 채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죽음을 너무 특별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며 위로하고, 죽음에 직면했을 때 좌절하지 않을 수 있는 용기를 가르쳐주었습니다. 그리고 죽어가는 순간까지 의미 있게 살아간 그의 용감함과 아름다운 문장들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저자는 어렸을 때부터 문학을 사랑하고, 무엇이 삶을 의미 있게 하는가를 끝없이 고민해 왔습니다. 바로 그 의미 있는 삶을 위해 암 선고를 받은 이후에 아이를 낳기로 아내와 결정합니다.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결정을 한 그의 모습에서 용기를 얻을 수 있지요. 어린 아이를 두고 떠나는 것이 슬플까 걱정돼서 포기하는 것보다는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어도 아이와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는 것을 택했습니다. 그의 글 마지막에 이 아이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보면 그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음을 알 수 있어요. 이 대목에서 눈물을 쏟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원제는 'When breath becomes air'인데요, 제목이 참 예쁜 것 같아요. 저자는 처음부터 의사의 길을 걸은 게 아니고 영문학을 전공하면서 무엇이 삶을 의미 있게 하는가를 끝없이 고민하다 인간의 정신은 뇌의 작용이라는 것을 알고 신경외과를 택했는데요. 그는 신경외과의로서도 소명의식이 대단했지만, 평생 문학에 열정이 있었기에 암 투병 중에도 이 책을 완성하려는 집념이 강했다고 합니다. 제목만큼 글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이 책에 실린 추천의 글에서도 모두 저자의 문장을 적극 칭찬합니다. 그리고 저자의 이야기 뒤에 실려있는 아내 루시 칼라니티의 글에는 저자의 마지막 순간과 그들의 사랑이 담겨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그가 얼마나 괜찮은 사람이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그의 글이 더 진정성 있고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책을 읽는 내내 감동과 슬픔에 젖게 되는데 마지막 페이지의 사진을 보는 순간, 그가 아이에게 보내는 메시지보다도 더 눈물이 쏟아집니다. 지금 이 리뷰를 작성하면서도 여운이 가시질 않네요. 많은 분들이 이 책을 꼭 읽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폴은 평생 죽음에 대해, 그리고 자신이 죽음을 진실하게 마주할 수 있을지에 대해 깊이 고민했다. 결국 그는 그 일을 해냈다.
나는 그의 아내이자 목격자였다.

시 칼라니티의 글 중에서

 

 

 

 

 

 


 

 

 

 

캘리그라피로 보는 책속 한줄

 

 

 

 

 

 

 

 

 

 

 

 

네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무슨 일을 했는지, 세상에 어떤 의미 있는 일을 했는지 설명해야 하는 순간이 온다면, 바라건대 네가 죽어가는 아빠의 나날을 충만한 기쁨으로 채워줬음을 빼놓지 말았으면 좋겠구나. 아빠가 평생 느껴보지 못한 기쁨이었고, 그로 인해 아빠는 이제 더 많은 것을 바라지 않고 만족하며 편히 쉴 수 있게 되었단다. 지금 이 순간, 그건 내게 정말로 엄청난 일이란다.

 

 

 

 

 

 

 

 

 

"나는 계속 나아갈 수 없어, 그래도 계속 나아갈 거야."

 

 

 

 

 

 

 

 

 

 


 

 

 

#그린캘리그라피 Grin Calligraphy

http://blog.naver.com/lovethey102

www.instagram.com/seedglyph

www.fb.com/seedglyp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